|
|
|
|
소설 상록수에 대한 분석
|
|
|
|
소설 상록수에 대한 분석
상록수에 대한 논의와 관련해 작가의 영화체험을 유추해 영화적 구성원리에 대한 지적은 꾸준히 있어 왔다. 그러나 심훈의 영화 경력이 그의 소설에 어떠한 영향관계에 있는지를 밝히는 작업이 그 기법의 차원에까지 미치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왜냐하면 서사 구성원리로서 영화적 기법의 활용이 심훈에게 있어서는 모더니스트들의 경우처럼 의식적인 방법론으로 도입하여 소설을 창작한 것이라고 보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록수에 반영된 작가의 영화체험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상록수에서 그것은 작가의 영화체험으로 획득한 몇 가지 사항의 형상화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박동혁이 젊은 농민들을 모아 농우회를 만들며 회원들과 합심하여 농촌계몽운동을 벌여 농우회 회관을 짓는 장면과 채영신이 청석골에 내려가 청석학원 낙성을 위하여 일하는 장면은 서로 다른 공간에서 펼쳐지는 <희생>의 이야기인데, 회관짓기라는 표상을 통해 대비되어 서술되고 있다. 청석골 회관 짓기 장면과 한곡리 회관짓기 장면의 대비에서 오직 채영신 한 사람의 희생적 노력을 의도적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청석골에서 영신의 활동은 전범위에 걸쳐있다.
‘영신이가 청석골로 나려가, 자리를 잡은 뒤에 야학의 교장겸 소사의 일까지 겹쳐하고, 어린애들에게는 보모요, 부녀자들의 지도자일 뿐 아니라. 교회의 관계로 전도부인노릇도 하고 간단한 병이면 의사노릇까지 하여왔다.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