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공학과 4학년 실험 레포트
Addressing Mode, Register File. for KS88 Series
Addressing Mode
주소 지정 방식(addressing mode)이란
프로세서(Processor)가 데이터를 읽고, 쓸수 있는 곳은 프로세서 내부의 레지스터, 메모리, 그리고 I/O의 3부분으로 크게 나눌 수가 있다. KS88 시리즈의 경우에는 I/O 주소와 메모리 주소를 구별하지 않는 방식(memory mapped I/O)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부터는 메모리 주소에 I/O 주소도 포함된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이 경우에 데이터의 이동을 몇 가지 경우로 나누어 생각해 볼수 잇는데, 레지스터에서 레지스터로의 데이터 이동, 레지스터에서 메모리로의 이동, 메모리에서 레지스터로의 이동, 메모리에서 메모리로의 데이터 이동 등이다. 이 외에도 상수 값을 직접 레지스터나 메모리로 옮기는 경우도 있다. 이때, 어디에서 데이터를 읽을 것이며, 어디에 데이터를 쓸 것인지를 알려주어야 하는데, 이를 주소 지정 방식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에서 레지스터로의 데이터 이동은 가능하지만, 메모리에서 메모리로의 데이터 이동은 대부분 불가능하다. 프로그래머는 이러한 주소 지정 방식 규칙에 메모리라서 데이터의 소스와 목적지를 지정해 주어야 한다.
1. 어셈블리 명령어의 형식
어셈블리 명령어의 형식은 다음과 같다.
OPcode
Operand1
Operand2
Operand3
각각의 코드들은 8비트로 이루어져 있다. OP코드만으로 명령어를 구성하는 경우는 함수 호출로부터의 복귀(RET),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일시적인 동작정지(IDLE) 등과 같이 피연산자(Operand)를 필요로 하지 않는 명령어들이 수행되는 경우이다. OP코드와 피연산자의 조합으로 명령어가 구성된 경우에 피연산자 부분에 올수 있는 중요한 데이터 형식을 아래에서 설명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