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운동과 혁명
제1절 사회운동
- 사회운동이란 “비제도적 방식으로 기존의 질서나 삶의 조건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비교적 지속적인 집합행동”
- 19세기에는 주로 노동운동 → 20세기 개념과 현상의 확대에 따라 다양한 집단행동 포괄(봉기나 반란에서부터 이익단체운동에 이르기까지)
- 사회운동의 대표적 유형도 시대,사회적 맥락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남: 봉건사회-반란,봉기, 산업화와 민주주의 발전과정-노동운동과 혁명운동, 탈산업사회-신사회운동, 권위주의체제-민주화운동, 민주화이후-개혁적 사회운동 등
1. 고전적 접근들
○ 시기: 19세기 후반~1950년대에 이르기까지. 예) 콘하우저의 대중사회론, 시카고 학파의 집단행동론, 스멜서의 구조기능주의론 등
○ 특징: 집합행위의 생성단계에 초점을 맞추고 집합행동의 직접적 원인을 미시적, 심리적 요인(예컨대 개인의 심리적 파탄 등)에서 찾음. 즉 사회변동에 적응하지 못한 원자화된 개인들의 인지적 부조화, 박탈감, 불안, 소외 등을 집단행동의 원인으로 파악. 사회운동은 정치적인 것이라기 보다는 심리적 긴장이나 부조화를 해소하는 집단적 반응, 일시적.퇴행적 분출행위로 이해함.
ⅰ) 테드 거(Ted R. Gurr): 사회내에서 개인이 받고자 하는 기대치와 실제로 받는 몫사이의 간격이 커질수록 ‘상대적 박탈감’(relative deprivation)이 커져 이것이 공격성과 혁명적 분노를 유발한다고 봄.
ⅱ) 제임스 데이비스(James C. Davis): 객관적인 사회경제상태의 변화보다도 변화의 양상에 대해서 사람들이 갖는 ‘기대상승’(rising expectation)이 집합행동이나 혁명의 주요 원인이라고 주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