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복지론] 성폭력 피해자 상담 - 충격후 스트레스성 장애와 강간을 중심으로
리포트 > 사회과학
[가족복지론] 성폭력 피해자 상담 - 충격후 스트레스성 ..
한글
2013.03.28
7페이지
1. [가족복지론] 성폭력 피해자 상담 - 충격후..
2. [가족복지론] 성폭력 피해자 상담 - 충격후..
[가족복지론] 성폭력 피해자 상담 - 충격후 스트레스성 장애와 강간을 중심으로
성폭력 피해자 상담
- 충격후 스트레스성 장애와 강간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전남대학교병원 정신과 소아청소년 정신건강클리닉

I. 서 론
강간은 실제로 그 발생에 비해 경찰에 신고 되는 경우는 적다. 보고 된 사례의 3-10배 정도로 강간은 발생한다. 미국(1992)의 통계에 따르면 여성의 12.9%가 일생동안 한번 정도 강간을 당한다고 추정된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미국 통계(1987)에서는 15.4%라고 보고되기까지 하였다.
강간과 관련된 초기 연구는 주로 심리적인 악영향에 대해 이루어졌는데, 불안, 우울, 성기능 장해에 대한 보고가 주류를 이룬다. 1980년대 이후 불안장애의 한 형태인 충격후 스트레스성 장애(혹은 외상후 스트레스성 장애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라는 개념이 도입되면서 강간후 증후군(postrape syndrome)은 충격후 스트레스성 장애의 한 형태로 개념화되기 시작했다.

II. 강간후의 정신병리
1. 강간 관련 상황에 대한 강한 공포와 불안 : 가장 지속적인 강간 후의 반응으로서 사건이 있은 후 16년까지도 지속되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2. 우울증 : 역시 많이 보고 되지만 불안보다는 덜 지속된다.
3. 사건에 대한 반복적인 기억, 생각과 영상 : 피해자는 나름대로 이런 생각들을 막아보려고 시도한다.
4. 악몽과 수면장해
5. 집중력 장해
6. 이외에도 자책감, 죽음에 대한 공포감, 자존심의 손상, 해리, 강박적 사고 등을 경험할 수 있다.

III. 충격후 스트레스성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성 장애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진단기준
A. 외상성 사건을 경험했던 개인에게 다음 2가지 증상이 모두 나타난다:
(1) 개인이 자신이 나 타인의 실제적이거나 위협적인 죽음이나 심각한 상해, 또는 신체적 안녕에 위협을 가져다주는 사건(들)을 경험하거나 목격하거나 직면하였을 때
....
외상과 정신건강(PTSD,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성..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 성폭력, 가정폭력, ..
외상과 정신건강(PTSD,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성.. 형법상 강간과 추행의 죄 및 성폭력 범죄의 처..
성폭력에대한우리의자세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
청소년_정신건강문제_성폭력 성폭력으로 인한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아..
[사회문제론] 성폭력에 관한 연구 성폭력가족
[아동성폭력상담치료방법] 아동 성폭력 상담 원.. [청소년 성상담] 청소년성상담의 절차, 성폭력..
(정신건강론) 성폭력과 노인학대 보고서 가정폭력(원인,실태,유형,특징,잘못된 인식, 문..
 
청소년기 성적 발달(청소년의 ..
독거 노인 실제 사례관리 보고..
조직문화의 개념과 기능, 자신..
인간의 생애주기별 욕구에 따..
접수, 사정, 계획, 개입, 평가..
사회복지사가 갖추어야 할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