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교육론]
읽기교육
1. 읽기 동기
‘읽기 동기’의 개념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읽기의 개념과 동기의 개념을 살피고 이들이 서로 어떤 영향을 받아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읽기’란 가장 넓은 의미의 읽기 능력을 의미하며 이때의 읽기는 문식성과 관련이 깊다. 읽기 능력은 학령 초기의 습득되는 문자 해독 위주의 기초적 능력에서부터 정보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새롭게 변화하는 삶의 상황에 직면하여 개인들이 읽기 행위를 통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으로 확장되었다.1)1) 김영경(2009), 『중학생의 읽기 동기와 읽기 성취도 간의 상관 연구』, 고려대 석사논문.
‘동기’란 행동을 유발, 방향 제시, 유지시키는 내적 상태로 정의한다. 즉 동기는 구체적인 목표를 향해 행동을 시작하게 하고 그 행동에 집중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잡아주며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하는 마음의 상태와 관련이 있다.2)2) 김아영외(2007), 『교육심리학』, 박학사.
전제응(2005)은 읽기 동기는 일반적인 동기의 특징을 반영하고, 읽기 영역의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좁은 의미의 읽기 동기는 읽기 과정 중 ‘읽기 전’에 한정하여 접근한 것으로 읽기 동기를 ‘읽기를 촉발시키는 계기 정도’로 보는 관점이다. 반면 적극적 접근은 읽기 행위를 촉발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읽기 과정을 지속시켜 주는 것까지 포함한다는 점에서 더 확장된 것이라고 말한다.3)3) 김영경(2009), 『중학생의 읽기 동기와 읽기 성취도 간의 상관 연구』, 고려대 석사논문.
즉 읽기 동기의 개념은 “읽기 행위를 촉발하고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강화시키는 독자의 다면적 심리구조”라고 정의할 수 있다.4)4) 김영경(2009), 『중학생의 읽기 동기와 읽기 성취도 간의 상관 연구』, 고려대 석사논문.
2. 태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