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교육의 한계점과 해결방안 및 교수 학습 지도안
- 개요
문법교육에서 탐구학습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것은 6차 교육과정부터이며 교수학습 방법으로 소개된 것은 7차 교육과정부터이다. 실제로 7차 교육과정의 문법교과서를 보면 ‘탐구란 우리말에 대하여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국어지식과 규칙을 학습자 손으로 직접 도출하여 보도록 하기 위하여 도입한 학습방법’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또 학습자 활동 중심의 탐구학습을 원칙으로 하여 교과서를 구성하여, 각 소단원 뒤에 들어가는 ‘탐구’에서는 다양한 탐구활동을 할 수 있도록 “~ 탐구하여 보자, ~ 모둠별로 탐구하여 보자.” 라는 형식으로 문제를 제시한다.1)1) 고등학교 문법교과서 pp, 2~5 일러두기
그러나 이것이 진정 탐구학습인지는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이다. 2007 개정에서는 교육과정에 탐구학습의 절차2)2) 논제이해와 문제제기→ 논제에 대한 가설설정→ 가설검증을 위한 자료수집→ 규칙이나 원리도출→ 도출된 원리의 적절성 확인이나 반례를 듦(실제 수업에서 생략가능)
를 제시하고 있으며, 탐구학습이 교수학습방법만이 아니라 교수학습의 내용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제 탐구학습이 나온 배경을 알아보고 왜 문법교육에서 탐구학습이 강조되고 있는지와 학교교육에서 잘 실현되지 않는 이유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 개선방향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1. 문법교육의 목표3)3) 1~5는 김광해(1992)를 요약 정리한 것임.
우리나라 국어교육의 언어영역에서 추구하고 있는 목표(Halliday, 1979)는 언어학습(learning language), 언어를 통한 학습(learning throung language), 언어에 관한 학습(learning about language)이다.
Goodman et al(1987:171)에서는 이를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다.
(1) 언어학습 : 아동을 보다 효과적인 언어 사용자가 되게끔 도와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