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복기초復其初의 의미에 대한 일 고찰
|
|
|
|
복기초復其初의 의미에 대한 일 고찰
유학儒學의 공부 목적은 어린 아이의 마음으로 돌아가는 것(復其初)이다. 유학에서 복기초 공부의 핵심은 욕심을 줄이는 것이고, 도달할 수 있는 경지는 종심소욕불유구從心所慾不踰矩와 부동심不動心이다. 그렇지만 욕심을 줄이는 것으로의 복기초는 불완전하다. 복기초復其初는 본래 노장老莊에서 비롯된 것으로 노장의 공부를 통해 완성된다. 노장에서 복기초의 핵심적인 내용은 ‘내어 맡김’이다. 내어 맡김은 ‘나라는 생각을 버림(無我)’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무아에서 유학의 복기초와 노장의 복기초가 만날 수 있다.
핵심 단어: 복기초, 적자지심, 내어 맡김, 무아, 자득
Ⅰ. 유학儒學의 복기초復其初
주자는 사서四書에 주석을 붙이는 일에 평생 심혈을 기울였다. 그 결과 주자 이후 사서는 유학 공부에 있어 오경에 앞서는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사서 중에서 물론 가장 중요한 것은 [논어論語]이며, 논어 첫 구절이 바로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學而時習之不亦悅乎’이다. 이 구절에 대한 주석에서 주자는 학學이란 본받는다(效)는 뜻이며 그 본받음의 목적은 그 시초를 회복함(復其初)라고 했다.1) 그 시초란 무엇인가 그리고 배움의 목적이 왜그 시초를 회복하는 것일까 이러한 궁금증이 일어날 만도 한데 과문한 탓으로 아직 그에 대한 글을 찾을 수 없었다. 그 시초는 무엇일까 그 시초는 물론 인간이 태어난 직후의 어린아이 때를 말한다. 즉 배움의 목적은 어린아이로 되돌아가는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는 물론 맹자의 적자지심赤子之心에서 비롯된 것이다. 즉 맹자는 대인大人이란 적자의 마음을 잃지 않은 자라고 했는데2) 그 시초로 돌아가야 함은 바로 이러한 어린아이의 마음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뜻이다. 아마 이러한 당연한 결론 때문에 복기초에 대한 논의가 없었는지도 모른다.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