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비트겐슈타인에 있어서 규칙 따르기의 역설에 대한 고찰
|
|
|
|
비트겐슈타인에 있어서 규칙 따르기의 역설에 대한 고찰*1)
Ⅰ. 머리말
비트겐슈타인은 「철학적 탐구」1) 201에서 다음과 같이 하나의 역설을 언급한다.
“우리의 역설은 이것이었다: 하나의 규칙이 어떤 행위 방식도 확정할 수 없으리라는 것이었다. 왜냐하면 각각의 행위 방식이 그 규칙과 일치되게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대답은, 모든 행위 방식이 규칙과 일치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면, 또한 모순되게도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 따라서 여기에는 모순도 일치도 존재하지 않으리라는 것이었다.”(「탐구」 201)
우리는 여기에 언급된 역설을 흔히 규칙 따르기의 역설이라 부른다. 이 역설이 의미하는 바는 규칙을 따르는 행위 즉 언어의 사용에 있어서 어떠한 언어의 사용이 올바른지를 결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런데 크립키(S.Kripke)는 「규칙과 사적 언어에 관한 비트겐슈타인」(1982)2)이란 저서에서 이 역설을 ‘비트겐슈타인의 역설’ 혹은 ‘회의론적 역설’이라 부르고 그것에 대해 새롭게 해석함으로써 비트겐슈타인의 「탐구」 전체를 기존의 해석과는 달리 해석하고자 한다. 그 결과 최근 20여 년 동안 크립키의 해석을 둘러싸고 비트겐슈타인 연구자들 사이에 많은 논쟁이 전개되었다. 그의 해석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규칙 따르기의 역설은 「탐구」의 중심 문제이다.
둘째, 비트겐슈타인은 그 역설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철학적 회의론을 제시하고 그것에 대한 회의론적 해결책을 내놓았다.
셋째, 「탐구」 243 이후에 등장하는 소위 사적 언어 논증은 독립된 논증이 아니라 그 앞에 나오는 규칙 따르기 논의의 논리적 귀결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비트겐슈타인의 「탐구」에 대한 크립키의 해석에 있어서 핵심적인 개념인 규칙 따르기의 역설과 관련하여 첫째 그 역설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생각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하고, 둘째 그것에 비추어 크립키의 해석이 근본적으로 비트겐슈타인의 생각에 대한 오해에 기인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