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시공학(CE)과 유연제조시스템(FMS)의 차이점과 CE의 성공적 도입사례
리포트 > 경영/경제
동시공학(CE)과 유연제조시스템(FMS)의 차이점과 CE의 성..
파워포인트
2012.08.11
24페이지
1. 동시공학(ce)과 유연제조시스템(fms)의 차..
2. 동시공학(ce)과 유연제조시스템(fms)의 차..
본 자료는 동시공학(CE)과 유연제조시스템(FMS)의 차이점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으며, LG전자 아트비전 골드, 마쓰시다 전기의 협업체제, 도요타 자동차의 원가우위, 아이와의 원가우위 등 CE의 성공적 도입사례를 상세하게 정리한 자료임
Ⅰ. FMS(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Ⅱ. CE(Concurrent Engineering)

Ⅲ. CE와 FMS의 차이점

Ⅳ. CE의 성공적 도입사례
Ⅳ. CE의 성공적 도입 사례 연구 - 2

4-2) 마쓰시다 전기의 협업체제

마쓰시다는 제품별로 설정된 목표원가를 달성하기 위해 상품의 기획·설계단계에서부터 기획, 설계, 생산, 구매, 판매, 경리 등 실무진을 참여시키는 CE를 도입, 실행하고 있다. 기존의 제품개발 방식은 설계부문이 제품의 설계도를 완성하여 생산부문에 넘겨주면 생산부문은 이를 토대로 생산활동을 전개하였다. 이에 따라 각 기능간의사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었고, 결국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단계별로 많은 비효율적인 요소가 발생하였다.
CE의 도입과 더불어 기획·설계단계에서부터 기획, 설계, 생산, 구매, 판매, 경리부문을 참여시켜, 제품라이프사이클상의 비효율적인 요소들을 사전에 파악하여,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최적의 상품을 개발하고 있다. 즉, 목표원가를 달성하기 위해 상품개발단계에서부터 사업부 전 부문이 참여하는 협업체제를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
동시공학, Concurrent Engineering, 유연제조시스템,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FMS, CE의 성공적 도입 사례
강금식외 1명, 엑셀활용 생산운영관리 [박영사] 2011.
원중호외 4명, 글로벌시대의 생산운영관리 [도서출판대경] 2009.
김태웅, 생산운영관리의 이해 [신영사] 2010.
김형준외 1명, 혁신 생산관리론 [형설] 2008.
참고 : 추진사례 - Business Reengineering by Laurence W.Hecht-Chrysler의 연구·개발 BPR 사례(Platform Team)
생산시스템의 구조와 유형 유연생산시스템
자동화 응용실험 - AGV와 컨베이어 경영학 - 유연생산체계(이하 FMS)가 무엇인가
[재고-자재관리시스템] 자재소요계획시스템, 적.. 경영학 - 새로운 원가혁신 기법과 사례
린 생산시스템, 컴퓨터통합생산(CIM), 유연생산.. 경영혁신기법
유니클로 기업분석과 경영전략,SWOT분석및 유니.. e-SCM의 성공사례와 시사점
로봇강의노트 삼성전자 SCM 사례
글로벌제조시스템 오퍼레이션스의 영향요소, 글.. e-SCM 경영전략과 성공사례
 
영국의 자원봉사 현황(자원봉..
자원봉사센터의 역할
자원봉사센터의 역할에 관해 ..
양적완화 장단점 및 미국 양적..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이 한국..
양적완화 정의분석과 미국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