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도시재생사업 사례_영국도시재생_독일도시재생_미국도시재생_유형별도시재생_도시재생사례_해외도시재생사례
외국의 도시재생 사례
영국의 도시재생 사례
독일의 도시재생 사례
미국의 도시재생 사례
유형별 도시재생 사례
부 록
Ⅰ. 영국의 사례
가. 신도시 개발 추진
(1) 도시재생 정책의 추진배경
배경
- 대도시의 무분별한 도시확산 방지
부정적인 효과
- 반도시화 현상을 촉발
- 도시권의 확산과 지가 상승
대도시 주변 그린벨트 설정
긍정적인 효과
대도시의 인구분산 효과
부정적인 효과
자족성 결여로 인한 교통 유발, 자연자원의 훼손, 정체성 부족 등의 문제
이후 기성시가지 주변에 민간 위주의 소규모 주거지 개발 형태로 전환
정부 주도의 신도시 개발 추진
배경
대도시들의 도신인구 감소에 따른 도시 쇠퇴화 현상 발생
고실업, 범죄, 사회적 소외와 같은 문제 발생
긍정적인 효과
- 막대한 예산과 자원을 투입하여 물리적 환경수준 개선
1980년대 경기침체에 따른 국가경제 재건을 위한 산업구조 조정의 단행과 동시추진.
한계점
- 파급효과가 지속되지 못하여 대도시로의 인구유입을 효과적으로 유인하지 못함.
도심부 재생정책 추진
1994년 계획정책지침의 일부 개정
- 도시근교에 소매점, 위락시설, 상업시설의 개발 억제 및 기성시가지내 주택건설을 촉진을 유도함.
1995년 주택백서
- 향후 25년간 건설될 총 380만호의 주택 중 50%를 기성시가지내에 건설하도록 제안함으로써 기성 시가지내 잔여 토지 및 건물의 활용을 통한 개발 추진.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에 관한 정책적 의지를 나타냄
기성시가지 내 도시재생 추진
나. 도심부(기성시가지) 개발 추진
다. 지속가능한개발이 도시재생의 핵심적인 원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