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황과전망 세미나] 대중국 국제항로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리포트 > 경영/경제
[현황과전망 세미나] 대중국 국제항로의 현황과 활성화 ..
한글
2011.04.08
34페이지
1. [현황과전망 세미나] 대중국 국제항로의 현..
2. [현황과전망 세미나] 대중국 국제항로의 현..
[현황과전망 세미나] 대중국 국제항로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대중국 국제항로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차례

1. 군산-대중국 국제여객선 운항 연혁

2. 주요 운항 선박 및 운항 경과

3. 군산 - 청도간 국제 여객선 운항 현황

4. 한일, 한중 여객선 운항 현황

5. 대중국 국제여객선 활성화의 과제 및 전망

[자료 1] 국제항로 운영지원 제안 관련 자료

[자료 2] 목포의 중국 상하이 뱃길 재개 노력

[자료 3] 해상여행의 제형태와 크루즈사업

1. 군산-대중국 국제여객선의 운항 연혁

1) 1단계(1996. 3- 2000. 9)

1996년 3월 군산-연대간 훼리 직항로 개설

1996년 6월 3일 전북 유일의 국제 해상통로라는 도민들의 기대 속에 첫 취항.
군산 지역은 특히 자유무역지역 지정과 함께 중국 수출교역의 전진기지로 발돋움할 것으로 기대

대중국 바닷길은 1996년 6월 첫 개설된 군산-연대 항로가 여러 차례에 걸쳐 중단과 재개 반복

군산-연대간 카훼리 직항로는 불과 4년만에 운항 중단, 적자노선 이유

회사측의 주장과 달리 전 사회적 경기불황이나 비관세 통관량의 감소 등 특수상황을 제외하고는 오히려 호전될 기미

실제 적자폭은 IMF 등 특수상황을 제외하곤 일정한 수준이며 오히려 호전되는 것으로 나타남. 이 가운데 2000년 9월 군산 직항로가 폐쇄된 것과 동시에 군산-인천항로가 신설

그 동안 쌓아온 군산항의 국제적인물류 및 통상기능이 점차 상실
군산항 국제여객 수송실적 및 전망은 지난 1997년 13,059명에서 IMF 이후인 98년 8,429명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99년 재차 17,468명으로 늘어나기 시작. 더욱이 2001년 16,389명, 2006년 20,234명 2011년 36,503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었음

....
[현황과전망 세미나] 대중국 투자액 증가세 지.. [세미나 현황과전망] 산동성 한국기업 진출현황..
[현황과전망세미나] 남북한 철도 연결의 파급효.. 북극해[NSR; Northern Sea Route] 항로의 현황..
안면도 국제 꽃 박람회 소개, 특징, 개념, 영역.. 위안화절상
해외직접투자,중국시장,회외시장,글로벌경영,마.. 해외투자론,실패사례,중국시장진출,마케팅,브랜..
떵샤오핑의 개혁, 개방정책 중국경제의 급성장에 따른 전망 및 현황과 한국..
홍콩,투자유치,무역,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 운하
글로벌경영_원문 사설항로표지설치(현황변경)허가신청서
 
[크루즈관광] 세계의 주요항구..
아시아의 주요 크루즈항과 터..
우리나라(한국) 크루즈항 건설..
영국의 자원봉사 현황(자원봉..
자원봉사센터의 역할
자원봉사센터의 역할에 관해 ..
양적완화 장단점 및 미국 양적..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이 한국..
양적완화 정의분석과 미국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