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과후 보육사업, 아동지도 및 아동보육서비스(프로그램) 보고서
리포트 > 사회과학
방과후 보육사업, 아동지도 및 아동보육서비스(프로그램)..
한글
2013.07.04
10페이지
1. 방과후 보육사업, 아동지도 및 아동보육서..
2. 방과후 보육사업, 아동지도 및 아동보육서..
방과후 보육사업, 아동지도 및 아동보육서비스(프로그램) 보고서.

★함께 작업한 발표용 PPT도 구입하실수있습니다.
Ⅰ.서론

Ⅱ. 본론
1. 방과 후 보육사업의 개념
2. 방과 후 보육사업의 목적
3. 방과 후 보육의 현황
4. 초등학교 아동을 위한 방과 후 보육의 기본 방향
5. 방과 후 보육 프로그램의 구성
6. 방과 후 아동지도 교사의 역할
7. 방과 후 아동보육의 문제점
8. 방과 후 아동보육의 과제 및 개선방안

Ⅲ. 결론
Ⅰ.서론
우리나라의 방과 후 아동보육은 1980년대부터 지역사회 민간 공부방으로부터 출발하였으나, 1990년대에 들어와서야 정책적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방과 후 보육은 20년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아동들에게 필요한 최소한의 방과 후 시설도 공급하지 못하고 있으며, 아동들이 직접 경험하는 방과 후 활동 프로그램의 질적 측면에서도 아동과 학부모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수준이다. 방과 후 보육의 양적, 질적 측면에서 드러나고 있는 문제점은 자생적 필요성 때문에 민간부문에서 발달해온 방과 후 보육에 대해 체계적이며 적극적인 공적부문에서의 개입과 지원이 요구됨을 의미한다.

Ⅱ. 본론

1. 방과 후 보육사업의 개념
방과 후 아동보육 또는 방과 후 아동지도는 어떻게 개념을 정의하는가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활동과 장소를 생각할 수 있다. 우선 방과 후 아동 보육을 학교 정규 수업 활동 외에 이루어지는 각종 프로그램으로 보는 광의의 개념이 있다. 가령 학교에서 방과 후에 원하는 아동은 누구나 참여하는 각종 특별 활동이나 스카우트 활동을 들 수도 있고, 학교 밖에서 주로 열리는 각종 캠프나 지역 사회 학교, 취미 클럽 활동, 학원 등 다양한 기관에서 학령기 아동이 방과 후에 참여하는 활동을 말한다. 그런가 하면 학교수업이 없을 때 성인의 적절한 보호를 받을 수 없는 학령기 아동을 허가를 받은 정규기관에서 정기적으로 돌보아주는 협의의 개념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이 일반적으로 말하는 방과 후 아동보육의 개념이다(서영숙?이남정?안소영, 1996).
방과 후 프로그램이 학령기 아동의 안전한 보호에 일차적인 목적을 가지는지, 아니면 보호와 교육이라는 종합적인 목적을 가지는지, 또는 성인의 보호가 필요한 학령기 아동의 가족 지원과 아동복지의 차원인지(이재연, 1995),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의 사회적 역할과 지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일차적 관심을 가지고 있는(김재인, 1996) 여성 복지의 차원인가에 따라서도 방과 후 프로그램에 대한 개념과 철학이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여러 전문가들의 정의를 규합하고 재정리하여 아래의 세 가지로 방과 후 보육의 개념을 정의하고자 한다.
방과후, 아동보육, 아동지도, 아동보육서비스, 아동프로그램, 아동복지
아동복지이론과 실천. 이순형. 학지사 2005
아동복지론. 이소희. 양지 출판사 2003
아동복지론. 강문성. 대학출판사 2001
방과후 보육사업, 아동지도 및 아동보육서비스(.. 방과후 아동보육(개념, 발달특성, 목적, 필요성..
방과후 보육[개념, 교육과정, 아동지도환경, 외.. 방과후 아동보육(개념, 발달특성, 목적, 필요성..
[사회복지] 아동복지의 이해 [아동복지론] 보충적아동복지와 대리적아동복지
연간방과후교실프로그램계획안 [아동복지론] 보육사업의 문제점
[보육학개론] 보육사업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과제 사회복지 사업(프로그램)계획서
방과후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돌봄강사제도의 .. 교육청에서는 초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오..
교육청에서는 초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오.. 아동보육, 보육서비스 보고서
 
가족치료이론(가족상담, 동서..
가족연구의 이론과 관점
중소기업의 문제점과 활성화 ..
음주 문제점
프로이드의 이론 중 성격의 구..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