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소설 교육과 교과서 연구
리포트 > 교육학
현대 소설 교육과 교과서 연구
한글
2013.09.27
11페이지
1. 현대 소설 교육과 교과서.hwp
2. 현대 소설 교육과 교과서.pdf
현대 소설 교육과 교과서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Ⅰ. 문학교육의 제도화와 문학의 인간화
1. 문학의 진리에서 진실로
2. 문학의 교육에서 自得으로
3. 문학의 이용에서 체험으로
4. 문학의 수용에서 생산으로

Ⅱ. 교육내용의 교과서 반영방식
1. 교과서에 실린 작품에 관하여
2.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의 짜임 비교
3. 달라진 교과서의 겉모습
4. 교과서 짜임의 변화

Ⅲ. 국어 교과서에 실린 현대소설 교육의 특성과 비판
1. 학습목표와 소설작품 간의 연관성
2. 영화와의 관련성
3. 교육과정 반영상의 문제점
4. ‘한자공부’에 관한 논의점
5. 중학교 교과서의 ‘생각 넓히기’에 관한 논의점
6. 보충 심화 학습에 관한 논의점
7. 읽기의 과정에 관한 논의점

Ⅳ. 열린 교과서, 우리말 우리글
1. 우리말 우리글 개발방향
2. 정답이 없는 학생 활동 중심의 교과서
3. 주제중심의 교과서
4.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
5. 교육방법
6. 매체(만화)와의 관련성
7. 우리말 우리글에 대한 비판점
참고문헌
Ⅰ. 문학교육의 제도화와 문학의 인간화

소설 작품이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를 살피기 전에 우선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문학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으며, 문학이 어떻게 교육되기를 원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 교과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여기서는 ‘국어 (상)’에 연구진으로도 참여하신 우한용 선생님의 글 “문학교육의 제도화와 문학의 인간화”라는 글을 간단히 요약해 보겠다.

1. 문학의 진리에서 진실로
교육을 설계하고 실천하는 이들의 의식을 옥죄고 있는 것 가운데 하나는 교육이 ‘진리의 전달’이라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막상 가르치는 교사 편에서 교육내용이 진리라는 확실한 보장이 있는 것인가 자문할 때, 그렇다는 확증을 얻기는 실로 난감한 일이다. 특히 문학의 경우는 교사가 학생에게 가르칠 수 있는 진리라는 것이 무엇인지 막연하기 이를 데 없는 형편이다.
자연과학에서의 분자식이나, 수학의 파타고라스 정리와는 달리 문학에 절대적인 진리란 없다. 문학은 진리를 문제삼는 것이 아니라 타당성을 문제 삼는다. 타당성은 내가 지닌 감수성에 적절히 연관되는가, 경험을 제시하는 방법은 적합한가, 내 경험을 남과 나눌 때 가능한 공감 영역의 폭은 어디까지인가 하는 것 등이 문제로 제기된다. 텍스트의 진술내용이 지닌 진리치가 문제가 아니라 수용자와 텍스트가 맺는 관계가 문제인 것이다.
이러한 발상에서 출발하는 문학교육은 문학을 보는 방식을 달라지게 한다. 문학은 진리의 진술이 아니라 체험을 문제삼는 영역이다. 문학교육은 따라서 진리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문학체험을 풍부하고 질 높은 것이 되게 해야 한다.
현대소설, 국어, 국문학, 문학, 국어교육
국어교육과 미디어 텍스트, 박인기 외, 삼지원, 2000.
문학교육원론, 김대행 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수준별 교육과정의 이해, 김재춘, 교육과학사, 2000.
제 7차 교육과정과 교과서,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센터, 교육과학사, 2001.
[독후감]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소설 - 이광수의.. 중국 문학
이상적인 학교도서관 모형설계에 관한 연구 현대소설의 개념과 유형
우리 나라 교육과 섬머힐(Summerhill)교육 비교 우리나라의 교과서 제도
1930년대의소설 일본역사
독도의 역사, 지리적 근거, 영유권 회복, 교과.. [현황과전망] 中國 禁書小說의 整理와 硏究現況
원격교육의 발달과정 2008년 대통령 연두업무보고
[독후감]양귀자의 원미동 사람들을 읽고나서 일본 역사교과서에 기록된 고대 한일관계사 서..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인간행..
언어지도 - 언어교구 제작 및 ..
퇴직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
[유아과학] 활동 계획안 - 종..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 및 사..
만3세 1년치 관찰일지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