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의 역사
리포트 > 경영/경제
실업의 역사
파워포인트
2013.05.01
13페이지
1. 실업의 역사.ppt
2. 실업의 역사.pdf
실업의 역사
한국 실업의 역사
‘ 고 실업 시대의 8대 병리현상 ’
우리나라의 인구구조는 한국전쟁 후 1955년에서 1963년 사이에 태어난 900만 명의 베이비붐 세대 때문에 피라미드 형에서 30,40대 중간연령층이 두꺼워지는 항아리 형으로 변하고 있으나 기업조직은 피라미드 형이어서 이들에 대한 조기퇴직 압력이 거세질 수 밖에 없음.

1997년 4월 삼성경제연구소는‘실업자 100만 명 시대의 과제’라는 자료를 통해 현재 실제 실업자는 이미 100만 명(실업률 4.9%)을 넘어섰다고 분석,
이런 고 실업 상태는 앞으로 지속될 것으로 내다 봄.
‘ 고 실업 시대의 8대 병리현상 ’

◈ 고 실업 시대의 8대 사회병리현상

① 경제 악순환 가속
② 세수 차질과 조세마찰 발생
③ 범죄증가
④ 계층간 위화감 증폭
⑤ 학원의 불안
⑥ 근로자 사기저하
⑦ 과격한 노동운동
⑧ 가계파산
‘ 625 이후 최대 국난 ’
1997년 11월 14일 - 한국경제의 IMF행이 결정.

1997년 11월 16일 -IMF 총재 ‘미셸 캉드쉬’ 일행 입국.
한국의 외환상황에 대해 브리핑을 받음.
‘캉드쉬’는 대통령과 차기 대선후보들
의 동의각서를 요구.

1997년 11월 19일 - IMF 지원요청계획 발표.

IMF 환난
‘ 비운의 91학번 ’
2000년 경제상황은 다소 나아졌지만, 그 변화가 모든 이들에게 골고루 돌아가진 않음.

1970~1972년 사이에 태어나 1991년 대학에 입학한 세대들이 대학 졸업 땐 외환위기와 구제금융에 막히고, 대학원 졸업 땐 제2의 경제위기에 발목이 잡혔다고 해서 나온 말.

2001년 광복 이후의 최악의 상황
‘ 사오정 오륙도 육이오 삼팔선 ’
....
고용보험(실업대책, 고용보험제도, 고용보험사.. 고용보험법
고용보험법-법학 고용보험_-정책론
시민의 자유와 헌법 - 인권의 역사에서 중요한 .. 사회복지 행정의 광의의 개념과 협의의 개념이 ..
[사회의 변천과정] 성숙된 사회문제의 대두 실업의 유형(경기적 실업, 기술적 실업, 계절적..
실업문제와 대책 실업의 해결방안(수요부족실업의 해결방안, 마..
청년실업 무엇이 문제인가 청년실업,청년실업정의,청년실업실태,청년실업..
실업 대책에 대해 실업급여를 제공하는 사회보장의 형태, 실업급..
 
[빈곤의 원인] 빈곤의 원인에 ..
생태체계이론(생태체계이론의 ..
사회복지실천모델(4체계모델,..
체계론적 사고의 기본 논리
[중독과 가족] 공동의존의 증..
비비고 bibigo 경영전략과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