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앞의 내용과 같은 맥락에서 상담자들은 지속적으로 집단의 비언어적 단서, 즉 신체언어를 탐색하고 그 아동의 내적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상담자들은 아동의 긴장, 지루함, 분노, 무기력함, 그리고 저항 등을 드러내는 얼굴 붉힘이나 그 외의 다른 신체언어와 같은 정서적 암시를 찾아야 한다. 예를 들어 아동이 팔짱을 끼고 다리를 꼬고 있다면 그 아동은 현재 집단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에 대해 흥미가 없거나 반항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비언어적 행동을 규명하려 할 때는 오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