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학자들의 정의를 정리하고 본인이 생각하는 사회복지실천을 정의하시오
사회복지 실천(Social work practice)은 사람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개인, 소집단, 가족 또는 지역사회의 문제 및 요구에 권한부여적(empowering) 문제해결 접근방법(Problem-solving method)으로 개입하는 종합적인(generic) 전문활동(Professional activity)이다.
우리나라에서 사회복지 실천은 1998년 사회복지사업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당시 한국사회복지사 협회가 기존의 개별사회사업과 집단사회사업이 없어지고 사회복지실천론과 사회복지기술론으로 변경한 2000년부터 사회복지실천이라는 말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사회복지실천론은 사회복지 실천의 기본개념과 가치와 윤리,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 사회복지 실천과정, 클라이언트와의 관계형성과 면접기술 등이고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은 이를 바탕으로 개인과의 실천, 집단과의 실천, 가족과의 실천 등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다루는 것이다.
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개념은 사회복지가 발달하던 초기에는 개인이나 개인의 성격변화에. 초점을 두었다. 리치몬드(Richmond)는 사회복지 실천을 "개인 대 개인 및 인간과 사회환경 간에 적응하는 능력을 갖도록 성격을 발달시키는 과정"으로 보았다.
그러나 1949년 Bower가 사회복지 실천의 정의를 클라이언트와 환경사이에 조화를 이루도록 지역사회 내의 자원과 클라이언트 개인의 능력을 최대한 동원하는 지식과 기술로 정의하면서 개인이나 개인의 성격을 벗어나 지역사회의 자원을 강조하는 정의로 변화되었다.
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포괄적인 정의가 내려지게 된 것은 1950년대 후반부터 사회복지방법에서 사회복지사가 수행하는 공통적인 역할과 요소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사회복지통합방법이 나오게 되면서 부터이다.
Boehm에 따르면 사회복지를 일련의 계획된 변화 활동을 통해 개인, 집단, 지역사회의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키는 도구적인 전문직으로 보고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강조하면서 인간과 환경사이의 상호작용을 구성하고 있는 사회적 관계 형성에 초점을 두고 손상된 능력의 재활, 개인적 또는 사회적 자원의 제공, 사회적 역기능의 예방을 포함 한다.
사회복지 실천에 관한 공식적인 최초의 정의는 1958년 미국의 사회복지사 협회에서 가치, 목적, 사회적 승인, 지식, 방법론의 집합적 영역에서 사회복지실천의 작업적 정의를 내리면서 사회복지 실천 개념을 세 가지에 목적을 둠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