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핵의학
|
|
|
|
Hepatobiliary scan과 질환별 감별방법
담도계에 대한 간략한 설명
간담도 신티그램이란
간담도 신티그램의 3단계 중 30분까지
담도계
담도계 - 담낭(gallbladder)과 담관(bile duct)으로 구성
담관 : 담낭의 담즙을 간에서 십이지장으로 전달하는 관
담낭 : 담관의 외낭이며, 간 아래 부분에 있는 타원형 모양의 낭으로, 간에서 생성된 담즙을 모아 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보내는 역할을 함
담낭의 담즙은 총담관을 통해서 십이지장으로 분비됨. 위로부터 십이지장으로 음식물이 운반되면, 담낭이 수축하여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분비하게 된다.
담석이 총담관을 막아서 담즙이 분비되지 않으면 황달이 생김
간담도 신티그램(Hepatobiliary scintigraphy)
원리 : 간담도 스캔은 정맥 주사한 방사성의약품이 간세포에 섭취된 후 담즙과 함께 분비되어 담낭과 담도를 통하여 십이지장으로 배출되는 양상을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것이다. 따라서 간세포와 담낭의 기능 정도 및 담도계의 폐쇄여부를 알 수 있는 검사법이다.
방사성의약품
방사성의약품
간담도계 검사에 이용되는 이상적인 방사성의약품은
간세포 섭취율이 높고
간담도 이행 시간이 짧으며
간세포의 기능이 저하되더라도 간 추출률이 높아야 하고
테크네슘과 결합력이 높아야 한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IDA 복합체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99mTc-DISIDA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99mTc-HIDA는 혈청 빌리루빈이 5~8mg/dl 인 경우에 검사 가능
99mTc-DISIDA는 혈청 빌리루빈이 30mg/dl 정도까지도 간담도계 영상이 가능
131I-Rosebengal은 과거에는 많이 사용되었지만 환자의 피폭이 많고 영상의 질이 좋지 않아 현재는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