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설계는 개입기법과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 적합한 방법으로 실험집단설계(experimental group design)와 유사실험집단설계(quasi-experimental group design)가 주로 사용된다.
1. 실험집단설계
일반적으로 사회복지실천을 과학적으로 평가한다는 것은 실험통제집단 연구설계가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Bloom, 1983).
이러한 설계의 전형적인 방법은 실험연구(tme experiment)로 이는 연구 대상이 되는 두 집단을 무작위로 표집한 후에 실험 집단에 의도적인 개입을 하고 통제집단에는 개입을 하지 않고 두 집단 간의 결과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개입한 방법의 성과를 파악하는 것이다(아래의 그림 참조).
[그림] 실험집단설계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개입 후의 차이는 개입방법이 유효하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이러한 실험통제집단 조사설계는 매우 유용한 조사전략이지만, 사회복지실천을 평가하는 실제적인 방법이라고 보기 어렵다.
그 이유는 사회복지실천에서 양적 연구에 적합한 사례 수를 확보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연구기간 동안 문제 해결을 위한 어떤 개입도 통제집단에 속해 있는 클라이언트에게 시행하지 않아야 하는 현실은 사회복지실천의 윤리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자연비교집단설계를 통해서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프로그램에 노인들을 참여하도록 하여 실험집단을 만든 후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