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에 대해서 플렉스너(Flexner, 1915)가 주장한 전문직 속성에 대해서 찾아보시고, 오늘날 사회복지 전문직 속성은 무엇이 포함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학습자의 생각을 기술하세요
리포트 > 경영/경제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에 대해서 플렉스너(Flexner, 19..
한글
2020.05.08
2페이지
1.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에 대해서 플렉스..
2.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에 대해서 플렉스..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에 대해서 플렉스너(Flexner, 1915)가 주장한 전문직 속성에 대해서 찾아보시고, 오늘날 사회복지 전문직 속성은 무엇이 포함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학습자의 생각을 기술하세요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에 대해서 플렉스너(Flexner, 1915)가 주장한 전문직 속성에 대해서 찾아보시고, 오늘날 사회복지 전문직 속성은 무엇이 포함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학습자의 생각을 기술하세요.

사회복지 전문직과 관련된 본격적인 논의는 1915년 플렉스너(A. Flexner)가 전미자선과 교정회의(National Conference of charities and Correction)에서 한 연설 '사회사업은 전문직인가? '에서 시작되었다. 그는 사회사업(social work)의 전문직 평가를 위한 여섯 항목의 기준을 제시했다(Flexner, 1915).

․ 광범위한 개입의 책임성을 기초로 한 지적인 활동일 것
․ 과학과 학습을 통해서 그들의 기초 자료를 이끌어 낼 것
․ 이러한 자료를 통해 실질적이고 명확한 결론을 만들어 낼 것
․ 전수가능하며 고도의 전문화된 교육훈련을 통해서 구사하고 전수할 수 있어야 할 것
․ 직능집단을 결성할 수 있어야 하며, 집단의식을 가지고 활동이나 의무 ․ 책임을 유지하면서 전문가집단을 구성할 것
․ 전문가들은 점차 이타성이 증가될 것 그리고 사회적 목적 달성을 위해 노력할 것

플렉스너는 이상의 기준에 따라 사회사업을 검토한 결과, 독자적인 기술, 전문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의 마련, 전문직과 관련된 문헌과 실천기술을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전문직이라고 할 수 없다고 했다. 플팩스너의 이러한 지적은 이후 미국 사회사업이 기술 중시 경향으로 발전을 도모하는 데 주요한 이론적 바탕이 되었으며, 개별사회사업(case work)을 중심으로 한 실천기술 체계화의 배경이 되었다.
1952년 전미사회사업교육협회(CSWE)에서는 전문직 지위를 위하여 석사학위 과정을 마쳐야 한다고 했으며, 1955년에는 전국 단위의 사회사업가조직인 전미사회사업가협회(NASW)가 창설되고 윤리강령을 채택하여 전문직으로 인정받기 위해 노력했다. 1950년대 후반에 이르러 그린우드(E. Greenwood)는 기존의 전문직을 규정하는 기준에 비추어 사회사업은 이미 전문직에 속한다고 했다(Greenwood, 1957).
이후 사회사업에 대한 전문직에 대한 논의는 전문화 정도에 대한 논의, 즉 완성도가 높은가(full), 완전한가(compete), 확립되어 있는가(established), 상급인가(major), 하급인가(minor) 등에 관한 논의로 이어졌으며, 그린우드는 사회사업 전문직은 완전한 전문직이 아닌 준전문직(semi-profession)이라고 평가했다.
이와 같이 사회복지의 전문직으로서의 위치는 성직자, 의사,
...
개념, 정의, 특징, 특성, 과제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에 대해서 플렉스너(Fl..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에 대해서 플렉스너(Fl..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에 대해서 플렉스(Flex..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에 대해서 플렉스(Flex..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에 대해서 플렉스(Flex..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에 대하여 플랙스(Flex..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과 사회복지사의 가치.. 사회복지실천활동을 하는 사회복지사는 전문직..
사회복지전문직의 역할의 정체성에 대하여 서술.. 사회복지실천에서 윤리의 중요성
[영국 사회복지 역사] 전문직 교육의 등장 [사회복지실천역사] 전문사회복지실천의 성장기..
[예방적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실천의 예방적 .. 일반사회복지실천과 전문사회복지실천
 
[게슈탈트치료] 펄스의 생애, ..
[빈곤의 원인] 빈곤의 원인에 ..
생태체계이론(생태체계이론의 ..
사회복지실천모델(4체계모델,..
체계론적 사고의 기본 논리
[중독과 가족] 공동의존의 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