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상관관계 측정 단계에서 제일 처음 해야 할 작업은 "비교 과목 활동 참여"와 "고교 졸업계획"이라는 두 변수의 카테고리들에 해당하는 개인들의 숫자를 세는 한편, 이를 표로 작성하는 일이다.
표> 비교 과목 활동 참여와 고료 졸업계획과의 상관관계
그러면 ․ 이와 같은 교차제표의 가상적인 결과에 대해서두 변수, 즉 "비교 과목 활동에의 참여가 고교를 졸업할 계획"과 상관관계를 가겼다고 분석할 수 있겠는가?
예를 들어 비교 과목 활동에 참여 여부를 알면, 그 학생의 고교 졸업계획을 알 수 있을 것인가?
이와 같은 Q 계수산정 공식을 위<표>의 비교 과목 활동과 고교 졸업계획이라는 두 변수의 상관관계에 적용시켜 Q계수값을 산출하면 다음과 같다.
위에서는 두 변수가 상관관계가 있는가?
표> 비교 과목 활동 참여에 따른 입ㅎ가 초기의 고교 졸업계획
따라서 이와 같은 차이가 이미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에 나중에 종속 변수("고교 졸업계획")상에 나타나는 차이가 독립변수인 "비교 과목 활동 참여"에서 온 것이라고 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
|
|
|
기술적 분석의 예로는 실험조사 분석과 설명적 실태조사 분석을 들 수 있다.
명목적 자료의 실험에 대한 퍼센티 지 사례 분석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금연교육"의 효과를 "통제집단 후 비교설계"를 통해 실험을 해보자.
위의 가상적인 자료에 대한 퍼센티 지비교 분석에서 실험 처리, 즉 "금연교육"의 실시 이전에는 두 집단의 50명 모두 100가 흡연을 하였으나, 실험 처리 이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는 상당한 변화가 나타났다.
따라서 "비교 과목 활동에의 참여"와 "학생들의 졸업에 대한 의욕"사이의 상관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가설은 "학생 개인의 비교 과목 활동에의 참여 여부를 알 경우, 그의 졸업계획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를 세울 수 있다.
그러므로 이제는 "비교 과목 활동 참여"와 "고등학교 졸업계획" 사이의 상관관계를 측정하는 작업에 나설 수 있다.
표> 비교 과목 활동 참여와 고료 졸업계획과의 상관관계
위의 <표>의 가상적 결과에 의하면, 고교를 졸업할 계획을 가진 학생들은 모두 65명, 졸업할 계획이 없는 학생들은 35명이다.
비교 과목 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 가운데 고교를 졸업할 계획을 가진 사람은 40명(80%)인데 비해서, 고교를 졸업하지 않을 계획을 가진 학생들은 10명(20%)에 불과하다.
반면에 비교 과목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은 고교를 졸업할 계획을 가진 학생들과 졸업하지 않을 계획인 학생들이 반반씩이다.
그러면 ․ 이와 같은 교차제표의 가상적인 결과에 대해서두 변수, 즉 "비교 과목 활동에의 참여가 고교를 졸업할 계획"과 상관관계를 가겼다고 분석할 수 있겠는가?
예를 들어 비교 과목 활동에 참여 여부를 알면, 그 학생의 고교 졸업계획을 알 수 있을 것인가?
이와 같은 Q 계수산정 공식을 위<표>의 비교 과목 활동과 고교 졸업계획이라는 두 변수의 상관관계에 적용시켜 Q계수값을 산출하면 다음과 같다.
즉, Q계수값이.60이 나왔는데, 이 값이 의미하는 바는 "비교 과목 활동에의 참여와 고교 졸업계획 사이의 상관관계는 긍정적이며, 또한 중간 정도가 약간 상회하는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결국 우리의 연구에서 얻은 두 변수간의 차이(예를 들어 %)가 표본 오차에서 얻어질 확률이 매우 낮은 것이라는 분석이 나 을 경우, "모집단에서 두 변수 간에 차이가 없다"라고 영가설(nullhypothes is)은 거부될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두 변수 간의 차이가 표본 오차에서 얻어질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높 은 것이라는 분석이 나 을 경우 위의 영가설을 거부할 수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두 집단 사이에 차이가 발견된다면 이는 곧 독립변수(실험 변수) 때문이라고 주장할 수 있는 것이다.
위 <표>에서 독립변수인 "비교 과목 활동 참여"가 먼저 발생한 후, 종속 변수인"고교줄 업계획"에 변화가 나타날 경우 우리는 독립변수가 종속 변수보다 먼저 발생한 것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차이가 이미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에 나중에 종속 변수("고교 졸업계획")상에 나타나는 차이가 독립변수인 "비교 과목 활동 참여"에서 온 것이라고 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위<표>에서 독립변수인 "비교 과목 활동 참여"와종속 변수인"고교 졸업계획" 사이의 인과관계가 제3의 변수인 학생들의 "사회적 계급(socialclass)이 나타날 경우, 제3의 변수가 원래의 독립변수와 종속 변수의 원인 변수가 되고 원래의 독립변수와 종속 변수 사이에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즉 허위 상관이 존재하게 된다.즉, "사회적 계급"이 학생들의 "비교 과목 활동 참여"의원인이 됨과 동시에 "고교 졸업계획"에 대한 원인으로도 될 뿐, "비교 과목 활동 참여"와 "고교 졸업계획" 사이에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즉 허위 상관이 성립하게 된다는 것이다.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 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
|
변수, 비교, 과목, 활동, 졸업, 참여, 학생, 두, 계획, 고교, 경우, 집단, 상관관계, 독립, 분석, 실험, 종속, 위, 대한, 표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