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전-탄탄대로에 대한 내용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
|
|
Ⅰ. What?
1. 장애노인의 증가
2. 장애인 1인 가구의 증가
3. 교통약자의 보행 문제
4.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
Ⅱ. Why?
1. 도보안내 서비스의 부재
2. 장애인의 보행 활동의 불편
3. 자전거 이용자의 불편
4. 장애인과 비장애인 차별
Ⅲ. How?
Ⅳ. What Effect?
1. 보행 안전의 보장
2. 보행 제약자에 대한 차별 완화
3. 기존 애플리케이션의 단점을 개선하는 효과
4. 애플리케이션 이용자의 편의 증진 |
|
|
|
3. 교통약자의 보행 문제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를 동반한 자, 어린이 등 행동상의 부자유함 때문에 공공 교통기관을 이용할 때에 여러 가지 곤란이 따르는 사람을 총칭하여 ‘교통약자’라고 한다.
그러나 이들도 일반인이 이용하는 모든 교통수단, 도로를 차별 없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권리가 있다. 이것을 이동권이라고 한다.
이렇듯 교통수단에 대해서는 그 말에 대한 정의가 뚜렷하지만, 보행과 관련하여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에 대한 명확한 단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인은 거동이 불편한 자나 보조기구를 이용하는 자 등 보행에 불편함을 느끼는 자를 보행 제약자라고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이들의 보행 이동의 문제점을 완화시키려 한다.
따라서 보행 이동권의 보장과 보행에 대한 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보행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려고 한다.
일반집단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인구
만 6세 이상 인구 중 스마트폰을 보유한 사람의 비율 89.5%
위험/위기집단
교통약자 중 보행제약자
우리나라의 고령인구 14.2%, 7,624,770명
이 중 장애인구 수가 46.6% 대로 약 350만 명
표적집단
보행제약자 중 지도 어플 이용하는 인구
4.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
오늘날 우리의 현실에서는 장애인을 도움이 필요한 불쌍한 존재로 여기거나 때로는 신비롭거나 초인적인 존재로 묘사하고 있다. 이는 우리사회에 퍼져있는 장애인에 대한 바르지 않는 통념과 가치관 중 하나이다. 장애에 대한 우리사회의 이미지는 비정상적인 존재라거나, 비장애인보다 못한 존재, 아프거나 가여운 존재, 사회와 가족이 보호해야할 대상 등 아직도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고령자나 장애인도 비장애인과 동일한 조건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하고, 비장애인이 ‘다수’라는 이유로 장애인을 ‘비정상’ 취급하지 않는 사회를 만들어 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비장애인의 인식개선이 필수로 동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보행 지도를 새로운 애플리케이션로 개발하는 것이 아닌 비장애인이 많이 이용하는 기존 애플리케이션에 기능을 추가하려고 한다. |
|
|
|
|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18
교통약자, 철도관련큰사전, 도서출판 골든벨, 2007
2017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요약보고서, 한국인터넷진흥원, 2017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문제, 장애인뉴스, 2018.06.27
한국교통연구원, 자전거 이용 인구, 2017
4차산업혁명, ‘지도’도 경쟁력이다..고정밀 지도 전쟁, 소비자평가, 2017.08.28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 기술.정보보호학회논문지, 임철수, 2009
SW기술자 등급별·직무별 평균임금, 한국소프트웨어협회, 2018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