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선택제 일자리 <시간선택제일자리에 대한 찬반토론> 보고서
리포트 > 사회과학
시간선택제 일자리 <시간선택제일자리에 대한 찬반토론> ..
한글
2024.05.15
11페이지
1. 시간선택제 일자리시간선택제일자리에 대한..
2. 시간선택제 일자리시간선택제일자리에 대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시간선택제일자리에 대한 찬반토론>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I. 서 론

II. 본론
1.개념
2.찬성
3.반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오늘날 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고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헌법 제32조(근로의 권리)에 국가는 사회적‧경제적 방법으로 근로자의 고용의 증진과 적정임금의 보장에 노력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있다. 일자리 제공은 국가의 당연한 책무이자 국민의 권리인 것이다.
2012년 기준, 실업률은 3.4%이며, 이는 OECD 가입국 중 가장 낮은 수준이고 케인즈에 의하면. 완전고용에 가까운 수준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실업률에는 함정이 있다. 왜냐하면 공식통계에는 포함되지 않는 비경제활동인구에 숨겨진 실업자이 많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한국의 고용률은 64.3%(2013년)로 OECD 회원국 중에서 21위로 비교적 낮은 편이다. 고용률을 산정하는 방식은 ‘ 취업자/생산가능인구’이다. 생산가능인구는 15세-64세 일할 수 있는 사람들로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주부, 군인, 공무원준비생, 고시생 등)로 나눌 수 있다. 한국은 생산가능 인구 중에 비경제활동 인구가 많기 때문에 고용률이 낮다고 볼 수 있다.
[그림1] 고용률 추이
출처 :OECD Stat Extracts(2013)

여기에 한국 경제의 문제점이 있다. 비경제활동인구를 보면, 군인은 어쩔 수 없다고 하더라도 주부나 공무원, 고시생 등이 많다는 것이다. 이들이 정말로 취업에 대한 의욕이 없는 것인지, 아니면 사회경제적 상황이 이들로 하여금 취업이 어렵다고 판단하여 구직을 포기하고 주부로 머물거나 공무원을 준비하게 만든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시간선택제 일자리, 사회복지, 산업복지, 시간제일자리
기획재정부(2013), 고용률 70% 로드맵
현대경제연구소(2013), 시간제 일자리의 실상과 대응방안-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늘리는데 초점 맞춰야
고용노동부·노사발전재단(2013), 시간선택제 일자리 도입·운영 안내서
여성가족부(2013), 시간선택제 일자리 도입운영안내서
기획재정부 (2013), 네덜란드·독일·영국의 시간제 근로 활성화 사례와 시사점
한형서 (2006), 한형서네덜란드 폴더(polder)모형에 관한 학습과 비판적 고찰, 한국유럽학회
방준식 (2012), Job-sharing(일자리나누기)의 도입에 따른 노동법·사회보장법적 과제
소크라테스 철학의 개요에 대하여 현재 사회복지조직의 적용이론 중 관료제이론과..
[일자리창출] 정부의 일자리정책(고용정책) 현.. [고용문제] 한국 일자리부족(일자리창출) 문제..
[CJ제일제당기업분석]CJ제일제당 경영전략분석 .. 안락사 합법화 찬반토론 및 나의의견
(삼성시간선택제자기소개서+면접족보) 삼성그룹.. 인류의 기원과 문화2
[삼성그룹-시간선택제자기소개서]삼성자소서+면.. [일자리창출]일자리부족에 의한 취업문제와 해..
존엄사,_안락사_인정에_대한_찬반논쟁과_과제 [제일모직 기업분석] 제일모직 경영전략분석 보..
[제일모직 기업분석] 제일모직 경영전략분석 PP.. 노인일자리사업(의의, 고령화사회 노인일자리 ..
 
종군위안부문제에대한
비영리조직에서 후원자개발과 ..
긴급재난지원금 정책집행의 효..
노인빈곤문제
사회복지의 관한 용어정리와 ..
자원봉사자의 인정과 보상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