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라고 하자 교사를 바라본다.
라고 말하자 교사를 바라보며 ʻʻ 수영복 ʼʼ이라고 한다.
교사가 ʻʻ◯◯가 놀이하다가 손에 스탬프가 묻었구나.
교사가 ʻʻ◯◯가 엄마 보고 싶구나.
교사가 ʻʻ○○랑 △△가유모차를 앞으로 밀어주고 있구나.
교사가 ʻʻ◯◯ 가스티커를 떼볼 수 있나요?
라고 말하자 ○○는 교사를 바라보고 팔을 움직인다.
교사가 ○○가 사용하는 색깔의 이름을 들려주자 ○○는 교사의 말을 자연스럽게 따라하며 반복해서 끼적이기를 한다.
|
|
|
 |
는 끼적이기를 하면서 손에 사인펜이 묻는 것을 보고 인상을 찌푸린다.
교사가 "○ ○야, 손에 묻은 사인펜은 물로 손을 씻으면 모두 사라질 거에요."라고 말하자 ○○는 자신의 손을 바라본다.
다양한 물놀이 그림 자료를 탐색하던 ○○가 그림 속 친구의 물안경을 가리키며 ʻʻ 안경!ʼʼ이라고 이야기한다.
라고 말하자 교사를 바라보며 ʻʻ 수영복 ʼʼ이라고 한다.
라고 말하자 ○○가교사를 한참 바라보더니 ʻʻ꿀벌. ʼʼ이라고 이야기한다.
교사가 봄꽃을 하나 건네며 ʻʻ○○꿀벌아~이 꽃 향기가 너무 좋아.
교사가 물속에 구멍 뚫린 페트병을 넣은 후 물을 가득 담아 높이 들어 올려 구멍으로 물이 나오게 하자 ○○가 다가오며 "우와!"라고 한다.
구멍 밖으로 물이 나오자 다시 물속에 페트병을 넣고 물을 담아다 시꺼내든다.
교사가 ʻʻ◯◯가 놀이하다가 손에 스탬프가 묻었구나.
교사가 "○○가 촉감 신발을 신고 잘 걷는구나."라고 하자 교실을 왔다 갔다 하며 반복해서 걸어 다닌다.
와 함께 손을 잡고 교실을 천천히 걸으며 둘러보는 중에 ◯◯가 울며 엄마를 찾는다.
교사가 ʻʻ토토랑 같이 놀면 서울지 않고 엄마 기다려보자.
손으로 얼음을 만지려 하더니 ʻʻ아차~ʼʼ라고 말한다.
교사가 ʻʻ○○랑 △△가유모차를 앞으로 밀어주고 있구나.
교사가 손가락 크레용으로 종이 위에 ◯◯의 이름을 적으며 ʻʻ◯◯◯ʼʼ라고 이야기하자 ◯◯가 손으로 가슴을 톡톡치며 자신을 가리킨다.
가 스티커에 관심을 보여 교사가 다가가 ʻʻ◯◯야, 반짝반짝 예쁜 스티커로 놀이 해볼까요?
교사가 ʻʻ◯◯ 가스티커를 떼볼 수 있나요?
라고 하자 ◯◯가 손가락을 움직여 스티커 떼기를 시도한다.
우와 ~◯◯ 가 스티커를 떼었네요.
라고 하자 떼어낸 스티커를 엄마 얼굴이 그려진 종이에 붙이고 미소를 짓는다 .
교사가 ʻʻ○○가 팔을 움직이니 딸랑딸랑방울 소리가 잘 들려요.
라고 말하자 ○○는 교사를 바라보고 팔을 움직인다.
처음에는 팔을 아래로 떨어뜨린 채 흔들었는데 점점 팔을 위, 아래 혹은 좌, 우로 움직이거나 팔을 빠르게 흔들며 방울 소리를 내며 크게 웃는다.
는 ʻʻ △△야, 이리와.ʼʼ라고 말한다.
는 처음에 별다른 흥미를 보이지 않았으나 친구와 교사의 놀이를 살펴보더니 바구니에 담긴 빅레고 블록 하나를 스스로 꺼낸다.
는 교사의 행동을 보고 빅레고블록을 하나 더 꺼내더니 블록끼리 맞물려 끼워본다.
교사 가 격려하자 ○○는 밝게 웃더니 블록을 하나 더 꺼내 차곡차곡 끼운다.
교사가 ○○가 사용하는 색깔의 이름을 들려주자 ○○는 교사의 말을 자연스럽게 따라하며 반복해서 끼적이기를 한다.
교사와 함께 벽돌 블록을 교차하여 쌓아올린다.
블록의 틈을 '창문'이라고 칭하며 교사와 까꿍놀이를 반복한다. |
 |
교사, 가다, 늘다, 손, 말, 신발, 하자, 블록, 관심, 바라보다, 그림, 보다, 놀이, 가리키다, 넣다, 끼, 보이다, 오다, 물, 위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