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자연분만 간호진단 간호과정 케이스입니다.
간호진단은 아래 3개입니다.
<1> 회음절개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2> 자궁수축과 관련된 급성통증
<3> 진통과 관련된 수면장애
책, 논문, 임상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전문적인 접근을 통해 작성하였습니다
간호계획 및 이론적근거는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간호과정에는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17개 간호계획, 17개 이론적근거, 17개의 간호수행, 간호평가까지 작성하였습니다.
|
|
|
 |
<1> 회음절개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2> 자궁수축과 관련된 급성통증
<3> 진통과 관련된 수면장애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1) 진단명
2) 진단 설명
3) 주요 원인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계획 5개
-> 이론적근거 5개
2) 치료적 계획 9개
-> 이론적근거 9개
3) 교육적 계획 3개
-> 이론적근거 3개
5. 간호수행 17개
6.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7. 결론 및 향후 계획
<참고문헌> |
|
|
 |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1) "회음절개술 받은 부위가 욱신거리고 따끔거려요."
(2) "뭔가 이상한 냄새가 나는 것 같아서 걱정돼요."
(3) "화장실 갈 때마다 찝찝하고 불편해요."
(4) "몸이 계속 피곤하고 기운이 없어요."
(5) "상처 부위가 제대로 아물지 않을까 봐 두려워요."
(6) "아기 돌보느라 쉴 시간이 없어서 힘들어요."
중략
5. 간호수행
1. 매일 오전 9시와 오후 6시에 환자의 회음절개 부위를 관찰하여 붓기(직경 2cm 감소), 발적(붉은 면적 1cm² 이내), 분비물(1일 3mL 미만)을 확인하고 기록하였다. 관찰 결과, 분비물이 황색에서 투명으로 변하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
|
|
|
 |
- 김민정, 박지현. 자연분만 산모의 통증 조절을 위한 간호중재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52(3), 189-198.
- 이수영, 최은경. 분만 1기 산모의 불안 감소를 위한 간호중재 연구.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5(2), 112-120.
- 정미경, 김소연. 분만 시 산모의 자세 변화가 통증 및 분만 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지, 30(1), 75-84.
- 박영주, 최지혜. 자연분만 산모의 산후 회복을 위한 간호중재 효과. 임상간호연구, 28(4), 321-330.
- 송지은, 박현아. 자연분만을 경험한 초산부의 심리적 적응 과정. 한국간호과학회지, 50(2), 145-153.
- 윤정희, 김은영. 분만 중 호흡법 교육이 산모의 통증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7(3), 210-219.
- 이혜진, 오수경. 분만 2기 산모의 체위 변화가 분만 결과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연구학회지, 34(1), 89-98.
- 김수진, 백지원. 자연분만 산모의 산후 출혈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효과. 한국임상간호학회지, 21(2), 134-142.
- 정윤아, 신지현. 라마즈 분만법 적용이 자연분만 산모의 분만 경험에 미치는 영향. 모성간호학회지, 35(1), 56-65.
- 박혜민, 윤서영. 자연분만 산모의 통증 관리 및 정서적 지지를 위한 간호중재. 한국간호행정학회지, 40(3), 178-186.
- 최유진, 강민서. 자연분만 산모의 회음부 손상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연구. 한국모성간호학회지, 33(2), 201-210.
- 한지수, 송은지. 산모의 자율적 분만 경험을 위한 간호사의 역할과 지원 방안. 간호학연구논문집, 45(4), 301-312.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