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활동지속성장애 간호진단]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 전신쇠약과 관련된 활동지속성장애 간호진단 간호과정
간호학 전공자, 간호사, 간호학과 학생들을 위해 실제 임상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간호진단과 간호과정 케이스 입니다.
최신 간호학 교과서, SCI급 논문, 그리고 대한간호협회 및 국제 임상 가이드라인(NANDA-I, NIC, NOC)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최신 임상 지침에 따라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고, 실제 임상에서 적용 가능한 중재를 제공하였습니다.
간호계획 및 이론적근거는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간호과정에는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17개 간호계획, 17개 이론적근거, 17개의 간호수행, 간호평가까지 작성하였습니다.
|
|
|
 |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1) 진단명
2) 진단 설명
3) 주요 원인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계획 5개
-> 이론적근거 5개
2) 치료적 계획 9개
-> 이론적근거 9개
3) 교육적 계획 3개
-> 이론적근거 3개
5. 간호수행 17개
6.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7. 결론 및 향후 계획
<참고문헌> |
|
|
 |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요즘 들어 쉽게 피곤해지고, 일상적인 활동도 힘들어요."
"아침에 일어나면 몸이 무겁고, 하루 종일 졸음이 쏟아져요."
"체중이 늘고 있는데, 식사량은 예전과 비슷한데도 왜 그런지 모르겠어요."
"추위를 잘 타게 되어 두꺼운 옷을 입고 있어도 손발이 차가워요."
"변비로 고생하고 있어요. 일주일에 한 번 정도 겨우 배변을 해요."
"기분이 우울하고, 예전에는 즐기던 활동에도 흥미를 잃었어요."
"최근에 기억력이 떨어지고, 집중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요."
2) 객관적 자료
- 심박수 감소: 안정 시 심박수가 58회/분으로 정상 범위보다 낮다.
- 체온 저하: 체온이 35.8℃로 약간 낮은 상태를 보인다.
- 혈압 상승: 혈압이 140/90 mmHg로 경도의 고혈압을 나타낸다.
- 피부 건조 및 탈모: 피부가 건조하고, 머리카락이 쉽게 빠진다.
- 근력 약화: 일상적인 활동 시 근력 저하로 인해 쉽게 피로를 느낀다.
- 심리적 우울: 환자가 우울감을 호소하며, 사회적 활동을 기피한다.
- 반응 시간 지연: 간단한 질문에 대한 반응 시간이 지연되는 경향이 있다.
중략
5. 간호수행
(1) (3월21일) 환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한 후, 체온은 35.9℃로 낮았고, 심박수는 52회/분으로 서서히 느린 경향을 보였다. 이는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인해 나타나는 저체온과 저심박수 증상을 반영한다. 이에 따라 따뜻한 담요를 제공하고, 대상자에게 체온 유지를 위해 실내 온도를 24℃로 조정해주었다. 수분 섭취를 유도하고, 하루 2리터의 물을 마시도록 교육하며, 지속적으로 수분 섭취를 확인하였다. |
|
|
|
|
 |
김혜정, 김영희. 갑상선 기능저하증 환자의 간호관리. 대한간호학회지.
박미선, 이현주. 갑상선 기능저하증 환자에서 전신 쇠약과 관련된 피로 증상의 간호중재. 한국간호학회지.
최정희. 갑상선 기능저하증 환자의 증상 관리 및 교육의 중요성. 대한내과학회지.
김민정, 정소영. 갑상선 기능저하증 환자의 피로와 활동지속성 개선을 위한 간호중재. 대한내분비학회지.
이정숙, 이혜경.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의 생활습관 관리 및 교육 효과. 한국임상간호학회지.
권영진, 김진경.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의 심리적 지원을 위한 간호중재. 한국심리학회지.
이지은. 갑상선기능저하증과 관련된 피부 관리 및 교육적 접근. 대한피부과학회지.
김지연, 조수정.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의 수분 관리 및 활동성 증진을 위한 간호 중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