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한국문학통사
목 차
1. 문학사 이해의 새로운 관점
2. 첫째 시대 : 원시문학
3. 둘째 시대 : 고대 문학
4. 셋째 시대 : 중세 전기문학 (제 1 기 삼국 · 남북국시대)
1. 문학사 이해의 새로운 관점
1.1. 문학의 범위
국문학사를 쓰기 위해서는 우선 국문학의 범위부터 살펴야 다루는 대상을 정할 수 있다. 먼저 문학의 범위를 정하고, 문학 중에서 국문학인 것과 국문학이 아닌 것을 구별해야 한다. 지금까지 이 둘이 서로 상관없는 논란거리인 양 다뤄왔지만, 한꺼번에 생각해야 둘 다 성과 있게 해결 될 수 있다.
문학은 언어로 이루어진 예술이며, 예술은 형상과 인식의 복합체라 해도 좋다. 문학은 말로 된 문학인 구비문학과 글로 된 문학인 기록문학, 이 두가지로 존재하며 둘 다 문학이다. 또 문학은 형상이라는 점에서는 일상생활에 쓰는 실용적인 말과 구별되고, 인식이라는 점에서는 단순한 말장난과도 구별된다.
문학과 문학 아닌 것을 구별하는 기준은 우선 형상에 있다. 말이나 글이 긴장된 질서를 갖추고 있어서 관심을 끈다면 형상이라고 인정되는데 비유나 상징, 사건의 구성, 인물 대립의 구조 같은 것들이 모두 질서의 예이다. 시, 소설, 희곡 따위를 문학이라고 해온 가장 간단한 이유가 바로 이런 것들을 갖추었다는 데 있다.
또 문학은 인식 내용을 제시하면서도 변동 불가능한 사실 이상의 것을 음미하고 상상하게 해주며, 진실 발견의 체험이 독자에게도 새로운 방식으로 살아나게 해준다.
국문학에는 세 가지 문학이 있다. 말로 된 문학인 구비문학, 문어체 글로 된 문학이기만 한 학문학, 구어체 글로 된 문학인 국문문학이 그 셋이다.
1.2. 문학의 갈래
작품을 묶어서 다루는 이론은 다른 데서는 관심을 가져주지 않는, 문학연구 고유의 과제이다. 공통적인 성격을 가진 작품을 한데 묶은 것을 갈래라고 해본다. 장르라고 하던 말을 갈래로 바꾸어놓기로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