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입학사정관제도-문제점_사회문제,사회이슈
|
|
|
|
입학사정관제와 고등학교 교사의 역할 문제
입학사정관제와 고등학교 교사
입학사정관제는 고등학교에서 교사가 평가한 내용에 대한 신뢰가 바탕이 되어 운영이 되어야 한다.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 입학사정관제이지만 시행되고 있는 현실 안에서 고등학교 교사가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학생들의 인식
자기주도학습
- 입학사정관제도의 핵심 개념. 입학사정관제는 자기주도적이 창의성이 풍부한 인재를 요구함
- 실제로 대다수 수험생들은 자기주도학습에 익숙하지 못함
- 초중고 12년 간 학년이 올라갈 수록 더욱더 사교육에 의존하게 되어 자기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방법 조차 모르고 알더라도 몸에 베어 있지 않아 학생들이 힘들어 함
수험생들의 인식(계속)
창의성
-자기주도학습과 함께 입학사정관제도의 핵심 개념
-창의적인 학습 활동 보다는 대학을 가기 위한 학습
-학생들은 초중고 12년 간 시험에 목 매달며 주입식 교육을 받기 때문에 창의적인 학습활동을 할 기회가 적다
잠재력
-교과성적으로 학생을 평가하는 것이 아닌 학생들의 잠재력을 보고 평가
-학생들은 잠재력이라는 것도 결국 사교육을 통해 배운 것들로 입학사정관제에 써 먹게 된다.
교사들의 인식
교사들은 학생의 잠재력 판단에서 학교생활 기록부의 비교과 영역보다 교과 영역을 신뢰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학입학사정관제에서 학교생활기록부의 교과영역 반영에 대해서는 학과를 계열로 나누고 사회와 과학 교과를 반영하는 것을 선호
교사들의 인식(계속)
학교생활기록부의 비교과 영역에서 교사들이 학생의 잠재력을 평가할 때 신뢰를 가지고 평가하는 항목으로 수상, 자격증, 독서활동 영역으로 나타남
교사들은 비교과 영역에 보조적 제출자료로 에세이, 포트폴리오, 활동결과물이 적합하다고 생각함
학생과 교사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