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김유정의소설사상

김유정의 소설 사상
1.

김유정(1908~1937)은 1908년 1월 11일 아버지 김춘식(金春植)과 어머니 청송 심씨(靑松沈氏)의 2남 6녀 중 일곱째, 차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출생지는 셋째 누나 유경(裕庚)의 주장에 의하면 서울시 종로구 진골(운니동)이다. 그의 작품의 주무대인 강원도 춘성군 신동면 중리(실레) 427번지는 유정의 선대 고향인 것이다.
그는 서울에서 태어났지만 고향에다 적을 올렸기 때문에 생가가 실레인 것으로 알려져 왔다. 실레마을의 수려하고 아름다운 자연환경이 그를 매료시켜 작품 곳곳에 이곳의 지명이 등장하게 되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유정은 부유한 집안에서 사랑과 귀여움을 독차지하면서 자랐다. 그러나 몸이 허약하여 명이 길라는 뜻에서 멱설이란 아명을 가지게 되었다. 휘문고보 때에는 김나리(金羅伊)라고 불린 적도 있었다.
1914년 6세에 어머니를 잃고, 이어 1916년 아버지마저 여의었다. 이때부터 형수와 누님들의 손에서 자라게 되었는데, 늘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모성애 결핍의 어린아이로 자라났다. 어려서 천자문과 논어 등을 집안 어른 밑에서 수학하였고 1920년 서울 재동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고 월반을 하여 졸업하였다.
1923년 휘문고보에 입학했고, 바이올린, 하모니카, 축구, 야구, 권투, 소설 읽기 등을 즐겼으며 이때 급우인 안회남, 임화와 교우를 맺었다.
1927년 연희전문 문과에 입학했으나 이듬해 중퇴하였다. 중퇴 이유는 자신이 더 배울 것이 없다는 것과 형 유근(裕近)의 방탕한 생활로 가정이 곤란했다는 것, 그리고 유정이 병(늑막염, 치질)을 앓게 된 데서 기인하는 것 등으로 보인다. 그의 나이 21세 때에는 연상의 기생 박녹주(朴綠珠)와의 사랑은 일방적인 짝사랑에 그치고, 그로부터 「두꺼비」라는 작품의 모델만 얻었을 뿐이다.
....

[hwp/pdf]김유정의소설사상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