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자기의 발달에 대한 레포트 자료.

자기의 발달

I. 자기와 타인의 분화

Werner와 Kaplan(1963)은 영유아기의 발달적 특징을 '미분화'라는 단어로 표현 했다. '미분화'란 '마음과 몸의 미분화'이며, 또한 '자기와 타인의 미분화', 즉 자기와 타인의 개념 구분이 충분히 발달되어 있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영유아기의 발달적 특징은 이 시기의 자아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인간은 자신이 타인과는 다른 존재라고 하는 인식을 언제부터 갖기 시작할까? 자신의 손과 발을 마치 장난감처럼 만지작거리거나 빨고 있는 영아의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는데 이처럼 출생 초기에는 자신의 신체와의 접촉을 통해 영아는 감각적으로 자신의 신체는 자신의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그러다가 어머니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자신과 다른 존재인 타인을 이해하고 의식하게 되면서 이번에는 자기 자신을 대상화하여 볼 수 있게 된다. 이 사실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에 대한 실험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생후 3, 4개월경의 영아는 거울 속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자기 자신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영아는 거울 속에 비친 자기 자신 모습을 보고는 또 한 명의 사람이 저쪽에 있는 것처럼
거울에 얼굴을 부딪쳐 보거나 두드려 보기도 한다. 마치 개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고는 짖어 대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생후 1년경이 되면 거울에 비친 사람은 실물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생후 1년 6개월경 후가 되면 거울 속의 자기의 모습은 실제가 아니며, 자신을 비춘 모습이라고 하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잠을 자고 있는 아기의 코끝에 립스틱을 묻혀 두고는 잠에서 깨어났을 때 거울을 보여주면
이전에는 거울에 비친 립스팁을 닦으려고 하였지만, 이 시기가 되면 자신의 코에 묻어 있는 립스틱을 닦으려는 행동을 보이게 된다. 또한 거울 앞에서 이런 저런 자세를 취하기도 하고, 거울 속에 자신을 향하여 말을 거는 등, 혼자놀이를 즐기는 모습도 발견할 수 있다.
그런데 거울 속에 비친 모습을 자기 자신이라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타인의 존재가 필요 불가결하다. 동물 중에 침팬지는 인간처럼 거울 속에 비친 자신을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또래와 격리되어 양육된 침팬지는 자신을 인식할 수 없다. 그래서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향해 빨을 보이며 화를 내거나 반대로 무서워하기도 한다. 이 사실은 '자기'라는 존재를 이해하게 되는 것은 생득적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존재가 전제되어야 비로소

...(이하 내용 생략)

[hwp/pdf]자기의 발달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