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
로 설정해 주세요.
[사회복지실천] 기능주의의 발전
[사회복지실천] 기능주의의 발전
이 시기에는 사회복지실천에서 진단주의와 다른 접근법이 발전하고 있었다. 바로 기능적 접근법으로 이는 클라이언트가 질병이 있거나 일탈이 되었다고 보기보다는 특별한 서비스가 필요한 사람들이라고 보았다. 기능주의는 랭크(Otto Rank)의 연구를 기반으로, 태프트(Jessie Taft)와 로빈슨(Virginia Robinson)의 지도하에 초기 기능주의 접근을 활용하였다.
랭크의 “Will therapy”에 기초해 기능주의자는 클라이언트의 과거 수집과 진단적 질문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다. 오히려 개입은 시간과 관계를 포함해 기관의 기능에 의해 결정되었다. 클라이언트의 긍정적 ․ 부정적 의지가 클라이언트가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 또는 어떻게 이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 작용하는 것으로 믿어졌다. 해결책을 발견하고 행동을 계획하는 클라이언트의 능력은 향상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Turner, 1996).
진단이라는 용어는 기능적 접근에서 다른 의미를 갖고 있다. 진단이란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함께 작업하기 위해 공통적인 바탕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시도이다. 이것은 치료가 아니라 함께 작업하도록 하는 것이며, 사회복지사가 기관의 기능을 수행하고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지식을 클라이언트와의 작업에 적용할 때 전문적 관계가 형성되는 것이다. 관계의 과정은 시작, 중기, 종결로 이루어졌다. 상호관계가 발전하고 개인이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게 될 때 변화에 대한 기회가 증대되게 된다(Johnson & Yanca, 2001).
사회복지사는 실천의 진단적인 면을 고수하는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접근법을 사용하거나 또는 기능적 면을 강조하는 랭크의 접근법을 모두 사용하였다. 1951년 해밀턴은 1940년에 집필한 저서에서 정신분석학의 최신 견해를 반영하고 있으며 정신분석학과 사회복지의 차이점을 분명히 기술했다.
여기에서 진단을 강조하면서 치료 요소의 설명과 심리적 요인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 시기의 세 번째 중요한 발전은 집단사회사업과 지역사회조직이 사회복지의 방법론으로 인식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새로운 방법론에 대한 이론적 발달은 아직 기초단계였다(Johnson & Yanca, 2001).
이 당시 이론의 발전은 사회복지 영역에 미친 경제공황의 영향으로 인한 것으로, 빈곤과 일탈을 개인의 결함으로 보는 이전의 이론은 더 이상 지속될 수 없었고, 이보다는 환경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보게 되었다. 프로이트 이론에 기반한 심리학적 지식은 일탈의 원인을 인간의 심리 내부에서 찾도록 하므로 대공황 동안 그 유용성을 상실하였고 원조와 사회적 서비스 제공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되었다. 민간 기관은 심리적 요인뿐만 아니라 새로운 클라이언트에게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
1930년대 초 사회복지사는 이론 개발에 열심이었고 이러한 경
...
[hwp/pdf][사회복지실천] 기능주의의 발전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