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콘택트렌즈에 의한 안질환

콘택트렌즈에 의한 안질환
각막 신생혈관
각막 신생혈관은 콘택트렌즈로 유발되는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혈관반응입니다. 만성 산소결핍증이나 각막상피의 손상이 그 원인으로 소프트렌즈의 장시간 착용으로 인하여 장기간 산소공급이 부족하여 생기는 증상으로 미세한 가지가 이 혈관망과 직각 방향으로 각막을 침범하며, 각막의 정점을 향해 안쪽으로 고리를 형성합니다. 각막과 결막의 경계선상에서 주로 나타나며 이렇게 형성된 혈관고리 또는 아케이드는 전형적으로 반원형을 이룹니다. 즉 연속적인 호가 점점 더 작아지면서 합류하여 결국 윤부 둘레에서 풍부한 혈관망을 구성합니다. 새로운 혈관은 종종 크림색의 지질성 액체를 배출하며, 혈관 주위에서 고배율로 관찰할 수 있습니다. 넓게 형성된 혈관이 이러한 혈관 바깥의 용액으로 둘러싸이면 시력이 손실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표층 신생혈관으로 시력이 감소하는 경우는 드물고, 혈관이 동공 중앙으로 침투했을 때에만 시력이 감소합니다. 이렇게 형성된 혈관은 없어지지 않습니다.

*치료 : 렌즈착용을 중단하고 안과검진후 콘택트렌즈 착용여부를 심각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안 건조증
일정한 수분을 함유하는 함수율(DK)을 가진 소프트렌즈의 착용은 눈물층, 특히 지방층의 깨짐으로 눈물의 표면 건조가 빨리 일어날수있습니다. 각막의 지각저하로 눈물량을 감소시켜 이물감을 느끼고 쉽게 충혈 될 수 있습니다. 렌즈 속으로 흡수된 화학약품이 축적되는 악순환은 건조 증상을 유발하며 각결막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감각과민증이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감각과민증이 이미 형성되어 있으면 렌즈를 착용할 수 없습니다.

*치료 : 소프트렌즈는 수분을 함유하는 고유의 함수율(DK)을 가지고 있어 안구건조증 증상을 느끼지 않는 분들도 소프트렌즈로 인해 더욱 안구건조증을 느낄수 있습니다. 근본적인 치료는 소프트렌즈를 착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나 꼭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눈물순환과 산소투과성이 높은 하드렌즈를 착용 하는것이 좋습니다.
세균,녹농균,바이러스,진균등에 의한 감염
....

[pptx/pdf]콘택트렌즈에 의한 안질환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