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대학과 지역의 신산업(BT)발전 전략

대학과 지역의 신산업(BT)발전 전략
바이오의 출발 및 미래예측
최고의 부가가치 산업 , 기존 산업의 한계를 뛰어넘는 고부가가치가 '굴뚝 없는 생체공장'이라는 생명공학(BT)산업의 진가이며
생명공학은 다음 세대를 위한, 환경보호를 위한 기술 입니다.
19세기 말1) 파스퇴르의 미생물, 발효현상,
2) 멘델의 유전법칙,
3) 미셔의 핵산발견 등 생물학의 3대 발견 이후
현재까지 생명공학은 눈부신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지금 우리는 생명공학기술이 21세기에 인류의 미래를 이끌어 나갈 중요한 분야라는 것을 아무도 의심하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 바이오 산업의 문제점
단기간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발전기반 취약
성장가능성에 비하여 산업으로의 위상 취약
핵심원천기술 미확보
- 영세규모로 Star기업 부재, 제품화 완료 미비
바이오 산업의 세계화 부재
- 중국의 경우에도 국가에서 6개 지역에 6개 회사를 만들어 Cluster화하여 연구 판매까지 하고 있는 연구소 중심의 회사가 있슴(예, 장춘 생물화 연구소, 북경 생물제품 연구소 등)

한국 바이오산업의 약점
선진국과의 기술 경쟁력 열위
산업화 인프라 부족 (연구 집적지, 인력 풀, 산학연관의 유기성)
투자규모 미약, 특히 초기 투자가 관건
세계화 전략 부재
협소한 국내 시장
마케팅 능력의 부족
한국 바이오산업에서의 기회
....

[ppt/pdf]대학과 지역의 신산업(BT)발전 전략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