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강점 관점(강점 이론)의 개념
사회복지 실천에서 강점 이론의 실체와 성과를 체계화한 Saleebey(1992, 1997)는 강점의 실천적 기반이 되는 6가지 개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이러한 회복력은 강점 이론의 기초가 된다.
사회복지의 이해: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사회구성원들 중에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은 사회로부터 소외되어 자신들의 권리나 이익을 주장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회 구성원들이 소외된 사람들의 권리나 이익을 보장해주고자 노력한다면 클라이언트들은 자신들의 강점을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회복력은 그러한 시련을 참고 견디는 능력을 말한다.
또한 Saleebey(1999)는 정신분석학과 의료적 모델의 영향을 받아 클라이언트의 결함, 약점, 부적응, 실패 등을 강조하는 경향이 짙은 전통적인 사회복지 실천 방법론에서의 병리적 관점과 강점 관점을 비교하여 <아래의 표>와 같이 제시하였다.
한국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 /이준우저, 파란 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행정 실무 : 이세형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 엠앤비, 2015

[hwp/pdf]강점관점(강점이론)의 개념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