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아동용 장애평가척도는 기능적 기술, 보호자의 도움, 조정/변경의 세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영역은 신변처리, 이동, 사회적 기능의 세하 위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Dam iano&Abel, 1996). GMFCS는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장애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이다.
인간 발달/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교문사/2016

아동용 장애평가 척도(Pediatric EvaluationofDisability Inventory: PEDI)는 미국에서 Haley 등(1992)이 개발한 것으로, 정병록(2006) 이 미국에서 대학교 이상의 교육을 받은 2개 국어 사용자 3인에게 의뢰하여 번역의 정확도를 검증받았으며, 28명의 아동 관련 전문가들에게 의뢰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아동용 장애평가 척도는 7.5세 미만의 일반 아동과 기능적 수행능력이 7.5세 미만이라고 예상되는 장애아동의 기능적 역량과 수행도를 측정하는 임상적인 평가도구이다.
아동용 장애평가척도는 기능적 기술, 보호자의 도움, 조정/변경의 세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영역은 신변처리, 이동, 사회적 기능의 세하 위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 기능 평가를 위해 대동작 기능 평가(GrossMotorFunctionMeasure: GMFM)와 대동작 기능 분류체계(GrossMotorFunctionalClassificationSystem: GMFCS)를 이용한다.
이 평가의 목적은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기능이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평가항목은 눕기와 구르기, 앉기, 네발기기와 무릎 서기, 서기, 걷기, 뛰기, 도약의 다섯 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총 88문항이다.
인간 발달/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교문사/2016

[hwp/pdf]뇌성마비 아동의 진단 평가도구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