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그러나 관찰자의 입장에서 조사 대상에 대한 관찰을 통하여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의사를 보다
조사 대상자의 일상생활 터전에서 연구가 진행되므로 계획한 대로 관찰하고자 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 무작정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조사자가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대상의 숫자가 제한적이다.
관찰 사실을 조사 대상자가 인지한 경우, 관찰자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관찰자가 현장에서 조사 대상자의 행동을 미세한 부분까지 파악할 수 있으므로 면접법이나 서베이(survey)와 같은 간접적 조사 방법에 비해 대상자의 의견이나 생각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조사 대상자가 면접을 거부하거나, 다른 조사 방법을 통하여 얻어낸 정보가 부족할 때 보완하는 수단으로 관찰법을 활용할 수 있다.
연구 대상자가 답변에 대한 부담, 시간 부족 등으로 면접이나 서베이(survey)를 거부할 경우에도 연구자는 관찰을 통하여 조사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조사 대상자의 일상생활 터전에서 연구가 진행되므로 계획한 대로 관찰하고자 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 무작정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관찰자의 가치관에 따라 특정 현상만 선택적으로 관찰하게 되고, 이에 대한 해석도 매우 주관적일 수 있어 신뢰도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 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hwp/pdf]장단점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