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포인트는 운영자가 올린글을 검토후 지급됩니다. 검토요청이 누적된 상황에서는 포인트 지급에 상당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저는 그린바이오R&D의 기획·관리·성과 확산 업무를 중심으로, 기술과 산업 간의 간극을 메우는 역할을 수행하고 싶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연구개발 사업의 기획과 운영관리 전반을 빠르게 습득하고, 중장기적으로는 바이오 기반 기술의 기술사업화 지원과 성과분석, 정책제안까지 수행할 수 있는 정책형 실무자로 성장하고자 합니다.
이처럼 저는 그린바이오 사업관리에 필요한 과학적 기반 지식, 정책적 기획력, 기술사업화 이해를 균형 있게 갖춘 준비된 인재라고 자부합니다.
이후에는 기술사업화 연계, 성과분석, 정책 개선 제안까지 확장해 그린바이오의 산업화를 지원하는 정책형 실무자로 성장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특히 농생명 기반 바이오 기술이 의약·소재 산업과 융합하는 흐름 속에서, 기술만이 아닌 제도·현장·산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책과 사업을 설계할 수 있는 인재가 되겠습니다.
또한, R&D 사업관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에서 주관한 '국가연구개발사업기획 및 관리과정' 교육을 이수하였고,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성과관리의 흐름과 전산시스템 활용법 등을 실습했습니다.
이처럼 저는 그린바이오 사업관리에 필요한 과학적 기반 지식, 정책적 기획력, 기술사업화 이해를 균형 있게 갖춘 준비된 인재라고 자부합니다.
석사과정 중에도 단순 연구에 그치지 않고, 농림식품 기술기획평가원의 R&D 사업 공고 및 성과보고서를 꾸준히 분석해왔고, 특히 '농생명 바이오 소재산업화 기술개발사업'이나 '농생명자원 기반기술개발'과 같은 과제를 중심으로 연구기획과 지원 프로세스를 학습해왔습니다.
이와 더불어 과학기술 정책연구원(STEPI)의 이슈페이퍼를 활용해 과학기술 정책 동향을 파악하고, 그린바이오 분야가 기존 농업 중심 기술에서 어떻게 산업적 확장을 시도하고 있는지를 분석해 블로그에 정리하는 활동도 진행했습니다.
수상경력으로는 대학 시절 농생명 캡스톤 디자인 경진대회에서 '곤충유래 단백질의 기능성 가공식품 화제안'을 통해 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이는 소재-기능성-상품화라는 전체 흐름을 경험하며 실질적 사업모델 구성 경험을 쌓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R&D 성과는 실험실에서 끝나지 않고, 기획·관리·확산의 흐름을 통해 사회로 전달되어야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연구 경험과 더불어 사업기획 교육, 정책분석 등을 병행해 왔으며, 연구자가 아닌 관리자로서 기술과 산업을 잇는 역할에 매력을 느꼈습니다.

[hwp/pdf](그린바이오 사업관리) 자기소개서 지원서와 면접자료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