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포인트는 운영자가 올린글을 검토후 지급됩니다. 검토요청이 누적된 상황에서는 포인트 지급에 상당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장면은 단순히 두 인물의 시선이 교차하지 않는 순간을 넘어, 오노의 내적 갈등과 욕망, 그리고 좌절이 응축되어 드러나는 영화적 순간이다.
오노의 상황과 사요코와의 관계
오노는 은사 이노우에 와의 관계 속에서 심리적 갈등을 안고 있는 인물이다.
오노가 밤거리에서 사요코를 발견하는 순간은 그의 욕망과 현실이 교차하는 상징적 장면이다.
이 장면에서 카메라는 오노와 사요코를 같은 화면에 담되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한다.
따라서 이 장면의 배경은 오노의 이중적 심리를 반영한다.
미조구치겐지의 『우미인 초』 속 문제의 장면은 오노의 내면 심리를 섬세하게 드러내는 중요한 순간이다.

오 노의 내면 심리와 연출기법의 관계
미조구치겐지(溝口健二, 1898~1956)는 일본 영화사에서 여성 재현과 심리적 리얼리즘의 대가로 평가받는 감독이다.
본과제에서 제시된 장면은 주인공 오노가 은사 이노우에 의자택을 찾았다가 돌아가는 길에 밤거리에서 우연히 사요코를 발견하는 순간이다.
이 장면은 단순히 두 인물의 시선이 교차하지 않는 순간을 넘어, 오노의 내적 갈등과 욕망, 그리고 좌절이 응축되어 드러나는 영화적 순간이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이 장면을 연출적 측면과 심리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미조구치의 영화미학이 인물 심리표현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고찰해보고자 한다.
오노가 밤거리에서 사요코를 발견하는 순간은 그의 욕망과 현실이 교차하는 상징적 장면이다.
사요코가 결혼사진을 바라보는 모습은 그녀의 운명적 현실을 상징한다.
이는 두 인물의 심리적 거리, 즉 서로 가까워질 수 없음을 은유적으로 드러낸다.
특히 사요코를 뒷모습으로 보여주고, 오노는 어둠 속에서 지켜보는 인물로 그려지는데, 이는 오노의 감정이 '숨겨져 있음'을 표현한다.
사요코가 결혼사진을 바라볼 때는 비교적 밝은 빛이 그녀를 비추지만, 오노가 그녀를 지켜볼 때는 그림자 속에 묻혀 있다.
오노는 사요코를 응시하지만, 사요코는 결혼사진에 시선을 고정한다.
이는 두 인물의 감정이 결코 만날 수 없음을 은유한다.
오노의 시선은 일방적이며, 그 속에 내적 갈망과 좌절이 공존한다.
오노의 괴로움은 대사가 아니라 시선과 표정의 미묘한 변화로 표현되며, 관객은 이를 통해 인물의 복합적 감정을 읽어낸다.
오노의 사랑은 사회적으로 표현될 수 없는 감정이다.

[hwp/pdf]미조구치 겐지 감독의 영화 우미인초 1935 장면 분석 - 오노의 내면 심리와 연출 기법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