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포인트는 운영자가 올린글을 검토후 지급됩니다. 검토요청이 누적된 상황에서는 포인트 지급에 상당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겪는 발음 오류의 유형
경음화발음 연습 활동의 단계별 예시
한국어의 발음 체계는 외국인 학습자에게 비교적 어려운 부류에 속한다.
외국인 학습자에게 한국어의 발음을 가르칠 때, 경음과 격음은 매우 중요한 학습 요소이다.
평음과 경음을 구별하지 못하고 모두 평음으로 발음하는 경우
학습자는 교사의 발음을 듣고, 어느 쪽이 경음인 지구별하도록 한다.
학습자는 대화 중 자연스럽게 경음을 포함한 문장을 반복적으로 발음하게 된다.
시각적·청각적 피드백을 통해 학습자는 자신의 경음발음의 정확도를 자가 점검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한국어가 가진 음운체계가 단순한 표기와 달리 실제 발음에서 다양한 음운 변화를 수반하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어의 '경음화(硬音化)'와 '격음화(激音化)'는 음운 규칙의 대표적인 예로, 한국어 학습자들이 초기에 가장 혼동하는 발음 현상이다.
외국인 학습자들은 대개 자국어의 음운체계에 기반하여 한국어를 발음하기 때문에, 자국어에 없는 '경음(된 소리)'과 '격음(센 소리)'의 구분을 어려워한다.
경음화(硬音化, tens ification)'란 평음(예 : ㄱ, ㄷ, ㅂ, ㅈ, ㅅ)이 특정한 음운 환경에서 된 소리(경음 : ㄲ, ㄸ, ㅃ, ㅆ, ㅉ)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잡고 [잡꼬] (평음ㄱ→경음ㄲ)
폐쇄음(ㄱ, ㄷ, ㅂ, ㅈ)이 평음으로 끝나는 음절 뒤에 같은 종류의 평음이 올 때 →경음으로 변화
경음화의 발음 특징은 긴장된 성대 진동, 짧은 발음지속 시간, 강한 기식억제이다.
즉, 성대를 강하게 닫았다가 빠르게 열며 짧고 강하게 소리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평음이 ㅎ의 영향을 받아 기식이 강해지는 것이다.
즉, 'ㅎ' 음소가 후행자음에 영향을 미쳐 그 자음을 격음으로 만드는 현상이다.
발음 특징 : 성대 긴장, 기식약함, 짧고 강함 |기식 강함, 성대 느슨함|
또한 학습자가 경음의 짧고 강한 발성을 익히지 못하면, 평음이나 격음과의 구별이 어렵다.
평음과 경음을 구별하지 못하고 모두 평음으로 발음하는 경우
학습자는 교사의 발음을 듣고, 어느 쪽이 경음인 지구별하도록 한다.
교사는 경음이 포함된 문장을 제시한다.
문장 낭독 후, 교사는 발음의 긴장과 타이밍을 피드백 한다.
목적 : 자연스러운 대화 상황에서 경음을 사용하는 능력 강화
학습자에게 일상 대화 상황을 부여한다.
학습자는 대화 중 자연스럽게 경음을 포함한 문장을 반복적으로 발음하게 된다.
학습자가 자신의 발음을 녹음한 뒤, 교사 혹은 프로그램을 통해 피드백을 받는다.
시각적·청각적 피드백을 통해 학습자는 자신의 경음발음의 정확도를 자가 점검할 수 있다.
결국, 경음화와 격음화지도는 단순한 발음훈련이 아니라 언어문화적 소통 능력의 확장을 의미한다.

[hwp/pdf]4학년 2학기 한국어교육학개론 2025 방통대 중간과제물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