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공개로 설정해 주세요.
4. 공무도하가

공무도하가에 나오는 백수광부의 정체

공무도하가

公無渡河 임이여, 물을 건너지 마오.

公竟渡河 임은 그예 물을 건너시네.

墮河而死 물에 휩쓸려 돌아가시니

當奈公何 가신 임을 어이할꼬. 1)1) 公(공) : 여기서는 남편. 곧 백수광부를 이르는 말. 그대. 당신. 임
無(무) : 여기서는 금지사(禁止辭)로서 ‘勿’의 뜻. -하지 말라
竟(경) : 마침내. 기어코. 드디어. 그예 / 墮河(타하) : 물에 휩쓸리다. 여기서는 ‘물에 떨어지다’로 풀이하지 말 것
而(이) : 순접(順接)의 접속사 / 奈-何(내-하) : -을/를 어찌하는가. -을/를 어찌할 것인가
奈公何(내공하) : (돌아가신) 임을 어찌할 것인가. (돌아가신) 임을 어찌할꼬
公無渡河(공무도하) : 그대는 물을 건너지 말라. 이 노래의 첫 구절인 ‘公無渡河’는 곧 사랑하는 남편이 황급히 물 속으로 뛰어들려는 순간을 노래하였다. 이 경우의 ‘물’, 즉 저 임이 건너지 말아야 할 물은 충만한 깊이 곧, ‘公’으로 표현된 ‘사랑’을 의미한다.
公竟渡河(공경도하) : 그대는 기어이 물을 건너도다. ‘公竟渡河’에서 ‘竟’과 결합되는 ‘河’는 사랑의 종말을 뜻함과 동시에 임의 부재를 의미한다. 이 경우의 물은 사랑을 뜻한다기보다 물 위에 깔려 있는 임의 환상이요, 물 속에 잠겨 있는 임의 추억이다.
墮河而死 (타하이사) : 물에 빠져 죽으니. ‘墮河而死’에서 ‘河’는 임의 부재라는 소극적인 뜻이 아니라, 죽음의 의미로 확대되고 있다.
當奈公何(당내공하) : 어쩌면 좋아. 장차 어찌할 것인가. 서정적 자아의 심정이 집약된 구절로 서정적 자아의 탄식과 원망의 애절한 울부짖음이 폭발하고 있다. 이 극한적인 비극적 심리의 폭발이 곧 배경 설화에서와 같이 여인의 자결을 몰고 온 것이다. 그리고 이 구절은 처용가의 ‘아 엇디릿고’, 청산별곡의 ‘잡와니 내 엇디리잇고’, 또한 시조의 종장에서 흔히 보는 ‘-어떠리’에 관류하는 일련의 전
....

[hwp/pdf]4. 공무도하가
포스팅 주소 입력
  올린글을 확인할 수 있는 포스팅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네이버,다음,티스토리,스팀잇,페이스북,레딧,기타 등 각각 4개(20,000p) 까지 등록 가능하며 총 80,000p(8,000원)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