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문초 록
본고는 1930년대의 현대시론 가운데 임화와 김기림의 시론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 시론의 전개 양상과 그 시론에 담겨진 근대성의 내용과 양상을 살펴보았다. 임화와 김기림의 시론은 1930년대 한국의 현대시론에서 박용철의 시론과 더불어 가장 주도적인 이론적 거점으로서 각각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을 대표하는 것이었다. 근대성의 쟁취와 근대의 철폐라는 이중적인 과제를 동시에 짊어지었던 식민지 한국의 현실에서 임화와 김기림은 서로 다른 방향에서 이 과제를 수행해간 대표적인 시인이자 시이론가란 점에서, 이들의 시론은 한국 현대시론사 연구에서 주요한 연구 대상으로 떠오른다. 여기에서 ‘근대성’(modernity) 개념이 중요하게 부각된다. 과거와 단절하고 새롭게 시대를 경신하려는 근대적 움직임이 어느 시기에 이르면 내적 파열을 일으키게 되는데, 그러한 근대를 ‘기술의 근대성’과 ‘해방의 근대성’으로 나누어 근대성의 양면성에 주목하였다. 도구적 이성으로 인해 파국으로 치닫는 기술의 근대성에 대하여 그것에 저항하고 그것을 극복하려는 해방의 근대성을 추구해야 할 가치체계로 보고서, 그것을 다시 ‘미적 근대성’과 ‘역사철학적 근대성’의 양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