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왕의 정치적 역량은 크게 보아서 왕 자신이 획득한 조건과 외부로부터 주어진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외부로부터 주어진 조건이란 왕의 부모, 외가, 처가 등 혈연적 출신기반, 그로부터 생겨나는 왕위 승계의 정통성, 즉위시의 나이, 재위기간 등이 있으며, 획득한 조건에는 학문 수련, 정치적 학습을 비롯한 王者 수업의 수준, 그것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정치행위 등이 있다. 이 가운데 혈연적 출신기반, 왕위 승계과정의 정통성과 같은 주어진 조건은 비교적 객관적인 것으로서 왕권의 위상을 살펴보는 데 기초적으로 고려해야 할 조건이다.
Ⅰ. 왕위의 승계 과정과 위상 변동
1. 왕실의 구성과 왕위 승계 과정
18세기 후반 영조대 이후 조선의 왕위 승계는 왕의 적장자로 이어지는 왕조 사회의 일반적 기준에 비추어 볼 때 거의 대부분 비정상적인 형태로 이루어졌다. 왕위 승계 과정사의 문제들은 19세기 왕들의 정치적 위상을 낮게 만드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순조는 정조의 뒤를 이어 왕위 승계 후보자로서 준비를 하던 중 정조가 갑자기 죽는 바람에 그 준비를 다하지 못한 상태에서 왕위에 올랐다. 즉위식을 거행하면서 바로 신료들의 청에 따라 대왕대비인 정순왕후가 수렴청정하도록 결장되었고, 최고 권력의 대부분을 정순왕후가 장악하고 순조는 아무런 권한을 행사하지 못하게 되었다. 수렴청정이 끝난 이후 순조는 국정을 전반적으로 파악하고 위상을 강화하려 하였으나 이러한 시도는 몇몇 유력 가문으로 정치 권력이 집중되어 있고, 그들을 견제하면서 왕권의 행사를 뒤받침할 만한 관료 집단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성공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시도가 좌절된 후 순조는 정치적 비중이라는 측면에서는 극히 미미한 존재로 머물고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