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동양 사상의 원류 
 
1. 유학 
- 중국(제자백가) - 유학 : 공자(仁, 禮), 맹자(義)↔ 순자(禮) ⇒ 성리학 
- 인도 - 불교(연기, 사성제, 삼법인설) ⇒ 대승불교 
 
공 자 
맹 자 
순 자 
혼란 원인 
․도덕적 타락 
․욕심 : 착한 본성을 가림 
․두려움 : 주저하게 됨 
․희소성의 원칙 
극복 방안 
․도덕(仁)의 회복→인간다움 
․[仁者人也] → 孝, 悌 
․효와 우애 바탕 → 愛人 
․己所不慾勿施於人 
․追己及人 
․仁 : 내면, 마음, 개인적 
 → 이기 
․禮 : 외면, 형식, 사회적규범 
 →克己復禮 
 ⇒ 예는 인을 기반으로 정당 
 ⇒ 君子 
 
․착한 본성(性善說) 
․仁 : 소박한 윤리의식 
 , → 측은지심 
․義 : 옳고 그름을 구별하는 
 , 사회 정의 개념 
 → 수오지심, 시비지심, 
 사양지심 
․옳은 일을 계속해[集義] 
 浩然之氣로 욕심과 두려움을 
 제거 
․正名設 : 君君臣臣父父子子 
․易姓革命 
⇒ 大丈夫 
․禮 : 욕구 제한의 정당한 
 , 기준, 역할에 따른 분배 
 (능력에 따른 차별) 
→ 진보적, 사회제도 개혁, 
 교육 강조 
 
※ 仁 : 차별적 사랑. 크리스트교의 사랑 : 무조건적인 용서. 慈悲(불교) : 미물까지 사랑 
 
노 자 
장 자 
혼란 원인 
․강제 : 도덕적 명령, 규범, 국가권력. 
․인간의 편협한 시각에서 오는 구별, 차별하는 마음 
극복 방안 
․인간은 자연의 일부→자연의 질서, 순리, 
 이법, 법칙에 순응 [無爲自然] 
․자연의 순리에 따라 서로의 생명과 자유 
 존중. 남에게 강요하지 않는 소박한 공동체 
 삶 추구 
 
․차별은 무의미[齊物論] 
․도의 관점에서 物我一體를 추구 
 ⇒ 절대적 자유 
․사회 규범, 제도를 거부하는 극단적인 
 개인주의 
․청담사상 : 사회규범, 제도는 선과 악, 너와 
 나라는 차별을 전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