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암 이현일의 경세사상
리포트 > 인문/어학
갈암 이현일의 경세사상
한글
2011.03.11
19페이지

[숨은설명:끝]

[숨은설명:시작]

[숨은설명:끝]
1. 머리말
[숨은설명:시작]

[숨은설명:끝]

葛庵 李玄逸(1627 仁祖5년~1704 肅宗30년, 자는 翼升, 諡號는 文敬)은 退溪學의 성리학자이다. 그런만큼 그는 退溪 李滉(1501~1570)의 학문적 유산인 四端七情論을 계승하여 [栗谷李氏四端七情辨]을 집필하고, 당대 儒賢들의 학문을 논한 [秋愁管見錄]을 저술하는 등 朱子學의 연구에 깊은 조예를 보이고 있다. 특히 그는 易學에 높은 식견을 보여 眉叟 許穆(1595~1682)이 그를 經筵에 참석시키자고 국왕에게 건의하기도 하였다. 출사 중에도 그는 실무의 직책을 담당할 신하가 아닌 '博古通今'의 博學君子 또는 師儒로 예우될만큼 그의 학문적 소양과 덕성은 국왕과 대신의 인정을 받고 있었다. 儒賢에게만 제수되던 世子侍講院贊善, 司憲府 掌令, 成均館 祭酒 등의 직책이 그에게 주어진 것도 종신토록 성리학의 연구와 수양에 힘쓴 결과라 할 것이다.
....
1. 갈암 이현일의 경세사상.hwp
2. 갈암 이현일의 경세사상.pdf
갈암 이현일의 경세사상


[숨은설명:시작]

[숨은설명:끝]
葛庵 李玄逸의 經世思想
[숨은설명:시작]

[숨은설명:끝]

金 洛 眞
(고려대)

목 차

1. 머리말
2. 維新의 지향과 개혁안의 성격
3. 民本政治論
4. 春秋大義와 秩序觀
5. 天人合一과 災異說
6. 時務策
7. 맺음말
[숨은설명:시작]

[숨은설명:끝]

[숨은설명:시작]
인문, 어학
[한국정치사상사] 서애 유성룡의 정치사상 우암 송시열의 생애와 경세사상(논문요약)
정약용-목민심서,흠흠신서,경세유표,실학사상가 율곡의 생애와 교육사상
갈암의 이기론에 관한 고찰 갈암의 율곡 비판
판결-미성년자의제강제추행,치상 실학사상에 대해
한국경제사 경세유표7000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훈민정음
[사례 분석] 훈민정음 떡볶이집에서 케인스를 만나다
 
[국문학] 장끼전 작품 분석
페이비어니즘의 원칙과 목표 ..
그리스도인은 인간을 어떻게 ..
평신도를깨운다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
2022년 2학기 방송통신대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