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기와 한국전통문화 - 현대인과 스승
리포트 > 인문/어학
세기와 한국전통문화 - 현대인과 스승
한글
2011.03.11
3페이지
1. 세기와 한국전통문화 - 현대인과 스승.hwp
2. 세기와 한국전통문화 - 현대인과 스승.pdf
세기와 한국전통문화 - 현대인과 스승
Ⅰ. 본문요약

엄숙한 지성 조지훈론
조지훈은 광복 이후 작고할 때까지 줄곧 서울 성북동에서 기거했고 글을 쓰다가 상(想)이 잡히지 않으면 곧잘 산보를 나가곤 했다. 외양으로 보아 느껴지는 그 우람한 기골(氣骨)과는 달리 그는 하찮은 잡문 한 편을 쓰기 위해서도 며칠씩 남모르게 앓는 것이 상례였다.
지훈을 가리켜 흔히 시인이라고 한다. 물론 그가 우리 세대에 있어서 단연 제일급 시인이었음은 틀림없으나, 그는 단순히 아름다운 자연을 노래하고, 인생을 화사하게 구가한 그런 시인이 아니었다. 그가 살다 간 조국의 현실이 그러했던 것처럼, 특히 그의 후기 시는 뼈아픈 민족의 비극을 몸소 극복하려는 장렬한 양심의 절규로 얼룩져 있다. 지훈을 가리켜 또 학자라고 한다. 그러나, 이제 학자로서의 지훈을 말한다 하더라도 그는 연구실에만 들어앉아 세상 돌아가는 것을 오불관언(吾不關焉)하고, 고고하게 오로지 자기의 학문 세계에만 안주하려는 그런 학자도 아니었다. 또 지훈을 가리켜 논객(論客)이요, 지사(志士)라고 하기도 하지만, 그의 추상같은 논박과 질책이 결코 어느 정당이나 특정 계층의 이익을 도모하기 위함이 아니요, 항상 민중의 편에 서서 이 민족 전체의 생존․번영을 터뜨린 엄숙한 지성의 분노일진대, 이를 일러 어찌 요즘 시정(市井)에서 흔히 말하는 논객․지사와 날을 같이하여 거론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지훈의 진면목은 시인, 학자, 논객, 문필인을 종합한 전통적인 한국의 선비상(象)에 있는 것이다. 굳이 현대말로 부른다면 우리 세대를 대표할 만한 참다운 <지성인>이었다고나 할까
지훈 조동탁(趙東卓), 그는 일찍이 영남(嶺南) 명문가(名文家)에서 태어나 어렸을 적부터 발군의 시재(詩才)를 보였고, 조(祖)․부(父)로부터 절의(節義)를 생명보다 귀히 여기는 선비정신을 익히며 자랐다. 아마 그의 평생의 파란 많은 역정이 이미 이에서 정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
인문, 어학
21세기와 한국전통문화 - 현대인과 동양정신 현대인과 스승
21세기와 한국전통문화 [독후감] 기독교와 문화를 읽고
[독후감] 참 스승(인물로 보는 한국 기독교교육.. 한국전통문화의 이해
일본인과 일본문화를 읽고 줄거리 분석 및 감상.. 현대지식사회와 정신건강
정신건강의 의미 전통문화 레포트
흔들리는교권 현대인과 성서
[한국전통아동발달이론] 우리나라 전통사회에서.. 한국 전통가족의 특성(한국의 전통가족제도, 한..
 
[국문학] 장끼전 작품 분석
페이비어니즘의 원칙과 목표 ..
그리스도인은 인간을 어떻게 ..
평신도를깨운다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
2022년 2학기 방송통신대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