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증주의사학
리포트 > 인문/어학
실증주의사학
한글
2011.03.11
6페이지
1. 실증주의사학.hwp
2. 실증주의사학.pdf
실증주의사학



과 목 명 :


담당교수 :


학 과 명 :


학 번 :


성 명 :


제출일자 :

1930~40년대의 흐름, 실증주의 사학

- 목 차 -
1. 서론
2. 본론
1) 실증주의 사학의 전개
2) 두계 이병도(李丙燾)
3) 동빈 김상기(金庠基)
4) 상백 이상백(李相佰)
3. 결론
# 참고문헌

1. 서 론
1930~ 1945년 해방이 되기 전까지 일제강점기 하에 우리민족의 현실과 상황은 탄압과 핍박으로 인해 가혹하였고, 암울하였다. 특히 이 당시 세계적으로 열강끼리 제1차 세계대전에 이어서 제2차 세계대전을 일으켰고 그 중 하나였던 일제는 군수물자 보급하기 위해 조선 땅의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을 수탈하였다. 뿐만 아니라, 완벽한 식민지화를 위해 창씨개명, 조선어 금지, 역사왜곡 등 강압적으로 실행하였다. 이러한 일제의 강압과 탄압 속에서도 우리민족은 끊임없이 여러 방향으로 저항하였다. 일제의 식민지화 정책 중 하나인 역사 왜곡의 산물인 식민사학이 등장하면서 이 시기에 민족주의 사학, 사회주의 역사학, 실증주의 사학 등이 나와서 이에 대항하려고 하였다. 이 글에서는 1930~40년대에 활발히 연구되고 활동한 실증주의 사학과 실증주의 사학자들 두계 이병도, 동빈 김상기, 상백 이상백에 대해서 다루기로 한다.

2. 본 론
1) 실증주의 사학의 전개
1910년대 이래 일본의 도쿄(東京)제대와 와세다대에 유학하거나 혹은 도쿄제대 국사학과를 졸업하였던 교수가 대거 포진 하였던 경성제대 사학과에서 역사학을 수업 하였던 일군 의 학자들은 일본 역사학계의 관학 아카데미즘을 수용하면서 각자의 전공분야에서 역사적 사실을 밝히는데 주력하였다. 이들은 1934년 이래 ‘진단학회’를 창립하여 ‘진단학보’를 발 간하였다.
....
인문, 어학
[역사인식] 한국 근대사학의 특징에 관해서 한국역사에 대한 일제 식민사관의 형성과 그 극..
후기민족주의 9급공무원시험대비 국사핵심요약정리
유물사관의 수용 이병도
역사교육,역사인식,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 백남운
[과학적 연구방법의 관점] 논리적 실증주의, 논.. 사회과학의 3대 패러다임에는 실증주의, 해석주..
서양철학의 세계관(논리실증주의, 실존주의, 생.. 사회과학의 3대 패러다임에는 실증주의 해석주..
논리적 실증주의, 논리적 경험주의, 반증주의, .. 3대 패러다임에는 실증주의 해석주의 비판적 사..
 
파한집원문
문화재의정의
(영어발음연습 중간,기말 족보..
[생활속의 심리학 기말 족보] ..
심리학개론 요약정리노트 (심..
남미3개국-베네수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