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공동모금제
리포트 > 사회과학
지역공동모금제
한글
2011.03.11
4페이지
1. 지역공동모금제.hwp
2. 지역공동모금제.pdf
지역공동모금제
지역공동모금제

1. 지역공동모금제의 개요
1) 지역공동모금제
① 민간사회복지기관에 대한 주민의 조직적이고 지속적인 참여를 도출해내는 방안으로서 세계 여러 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다.
② 이 제도는 1887년 미국 덴버 시 자선조직협회에서 23개 회원기관 중 15개 사회복지기관이 무분별한 자선운동을 탈피, 사회복지사업의 전문화를 도모하기 위해 공동으로 모금하였던 것을 출발로 1895년까지 재정문제로 힘들어하는 자선기관들을 돕기 위해 미국의 100여 개 시로 확대되었다.
③ 1995년 현재 정부가 외국에서 실시되고 있는 지역공동모금제를 입법할 예정이다.

2. 지역공동모금의 목적과 특성
1) 지역공동모금의 목적
① 민간사회복지기관에 대한 주민의 조직적이고 지속적인 참여를 구조화시키는 방안
② 주요목적
- 지역사회주민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기부금을 통한 민간 사회복지의 재원조성
- 기부금을 통한 민간사회복지기관의 재정운용의 안정성을 부여하여 사회복지 서비스 프로그램의 전문화 및 질적 수준 제고
- 지역사회주민들의 지역사회복지증진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③ 공동모금제의 실시가 필요한 이유
첫째, 무분별한 자선사업의 난립을 막고 지역주민의 신뢰할 수 있는 민간모금단체를 등장시키는 데 주안점이 있다.
둘째, 지역사회주민의 참여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의 자원봉사정신을 함양시킬 수 있다.
셋째, 사회복지서비스의 프로그램의 전문성의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2) 공동모금의 특성과 사회적 기능
① 공동모금의 특성
첫째, 봉사활동으로서의 민간운동의 특성을 띤다.
둘째, 공동모금은 지역사회를 중심기반으로 한다.
셋째, 효율성과 일원화의 특성이다.
넷째, 공표이다.
다섯째, 전국적인 협조를 도모할 수 있다.
② 공동모금의 사회적 기능
- 합리적 기부금 모금을 통한 사회복지 자금조성의 기능
- 국민의 상부상조정신 고양의 기능
- 사회복지에 관한 이해의 보급과 여론형성의 기능
....
사회과학
공동모금의 이해에 대해 서술하시오. 공동모금 .. [지역사회복지론] 미국의 지역공동모금제도에 ..
[지역사회복지론] 미국의 지역공동모금제도에 .. 지역사회복지실천론 - 모금의 단계, 원칙, 공동..
공동모금회의 관한 개선방안 지역사회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회복지 공동모금회의 특징을 이해하고 활성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의, 역사, 조직구조, 공..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운영 .. [지역공동모금회] 공동모금회의 개념과 현황 및..
사회복지 공동모금회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 공동모금회 문제점 ..
 
지역사회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인공지능의 개념과 기술과 적..
정치의 삼각형을 설명하고, 저..
다세대 가족치료 사례(보웬의 ..
자원봉사 환경의 변화
장애인·노인·임산부등의편의증..
사회복지 프로포절 계획서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