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판소리에 대해
|
|
|
|
머릿말
판소리는 한 사람의 창자가 한 고수의 북장단에 맞추어 긴 서사적인 이야기를 소리와 아니리로 엮어 발림을 곁들이며 구연하는 창악적 구비서사시이다. 그것은 전세계적으로 다양하게 존재하였던 구비서사문학의 독특한 발전형인 동시에, 한민족이 지녀온 갖가지 음악언어와 표현방법이 총결집된 민속악의 하나이며, 현장연회에서는 일부 연극적인 표현요소까지도 구사하는 종합적 예술이다. 판소리는 전통적으로 광대라고 불려진 하층계급의 에능인들에 의하여 가창․전승되어왔다. 그들은 때로는 농촌이나 장터에서 노래했고, 때로는 양반․부호들의 내정에서 연회하기도 하였다. 판소리사의 진행과정을 통해 청중의 구성은 점차 상향적으로 확대되는 추세를 보였으나, 대체적으로 개괄하건대 판소리는 평민예술의 바탕을 지니면서도 탈춤, 남사당놀이 등과 달리 다양한 계측의 청중들을 포용할 수 있는 폭과 유연성을 지녔다고 하겠다. ‘판소리’라는 말의 어원과 의미에 대하여는 아직 일치된 결론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것이 ‘판’과 ‘소리’의 합성어임은 분명하나, 문제는 ‘판’의 의미이다. 우리말에서 ‘판’의 일반적 의미는 ‘상황․장면’과 ‘여러사람이 모인 곳’으로 나타나는데, 이를 위할 경우 판소리라는 이름은 ‘다수의 청중들이 모인 놀이판에서 부르는 노래’라는 의미로 이해된다. 그러나 다수의 청중을 상대로 한 소리판에서 불려진 창악에는 판소리 외에도 여러 종류가 있어서 이를 판소리의 어원으로 단정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이와 다른 또하나의 견해는 ‘판’을 ‘악조’라는 의미로 보는 것이다. 이를 취할 경우 판소리라는 이름은 ‘변화 있는 악조로 구성된 노래’라는 의미가 되는데, 판소리 관계문헌에 이를 지지할만한 용례가 더러 보인다. 따라서, 후자의 견해가 좀더 큰 설득력을 띤다고 할 수 있으나, 판소리가 다수의 청중을 상대로 한 소리판에서 연창되는 현장예술이며, 방법상으로는 작중상황에 따라 다양한 악조와 장단을 구사하는 창악이라는 점에서 두가지 어원설은 그 나름의 통용가치를 가진다.
본문
1. 판소리 음악사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