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로슨의 심리철학 : 양면이론
1.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세계관을 거부하면서 물질과 마음의 이원론을 확보한 데카르트의 심리철학을 보았고, 데카르트의 심리철학이 지니고 있는 신화와 그 신화에 대한 거부작용을 크게 인식론적 측면과 존재론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데카르트의 심리철학이 범주오류라는 논리적 오류에 근거해 있다는 라일의 비판이나 데카르트적 이원론은 필연적으로 의미론적 유아론의 문제와 타인의 마음의 존재문제를 야기시킨다는 비트겐슈타인의 공박은 넓은 의미에서 인식론적인 논변이라고 할수 있다. 반면에 심적 현상에서 나타나는 인식론적 독특성에서 심적 실체가 도출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심적 현상도 물리적 현상과 동일하다는 동일론의 주장은 존재론적 논변이라고 할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식론적 논변을 기초로 한 데카르트 이원론에 대한 공박은 논리적 행동주의(logical behaviorism)라는 철학적 입장으로 정리될 수 있으며, 존재론적 논변을 기초로 하여 전개된 데카르트 이원론에 대한 공박은 과학적 실재론의 세계관을 인정하는 환원적 유물론(reductive materialism)이라고 할수 있다.
2. 그 자체 내재적인 철학적 난제를 산출하고 있는 이원론을 용인할 수 없다면,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입장은 논리적 행동주의와 환원적 유물론의 동일론이다. 과연 우리는 어느 입장을 선택할 수 있는가 심리적인 것을 의미론적으로 또 인식론적으로 행동으로 환원시키려는 논리적 행동주의는 물리적 대상을 감각자료로 환원시키려는 현상주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고스란히 안고 있으며, 더 나아가 우리가 구체적으로 느끼는 현상질(qualia)의 존재를 해명하지 못한다. 반면에 동일론도 김재권의 논문이 훌륭하게 보여 주었듯이, 심적인 것과 물적인 것의 동일성을 효과적으로 증명하지 못하고 더 나아가 속성이원론으로 떨어질 운명에 처하였다. 바로 이런 문맥에서 우리는 어떤 심리이론을 주장할 수 있는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