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합방
리포트 > 인문/어학
한일합방
한글
2011.04.21
2페이지
1. 한일합방.hwp
2. 한일합방.pdf
한일합방
‘합방’ 뜻이나 제대로 알자

‘합병·병합·합방’은 자유재량적 선택의 행위… ‘보호조약’도 ‘늑약’이 맞아

8월 15일로 광복 60주년을 맞는다. 오는 29일은 경술(庚戌 1910년) 국치의 95년째 되는 해다. 조선의 국권이 마침내 일본에 강탈된 날이다. 1905년 11월 17일의 을사늑약으로 조선은 외교권을 빼앗겼다. 늑약에 의한 국권상실은 한민족이 근대 민족통일 국가를 건설한 지 1000여년 만에 최초, 최후의 일이었다.

합병이나 병합이나 합방은 같은 의미다. 두개 이상의 나라를 하나로 합친다는 사전의 풀이다. 이 말은 대등한 관계에서 이뤄지는 자유재량적 선택의 행위다. 그렇다면 왜 늑약이라 해야 하는가 늑(勒)은 ‘재갈 물린다. 강요하다’는 의미다. ‘을사보호조약’이 ‘을사늑약’일 수밖에 없는 것은 조약 조인이 당사자의 자유재량권적 행위가 아니기 때문이다.

....
독도 문제에 관해(독도 영유권문제에 대한 한일.. [FTA세미나] 한미FTA 무엇이 문제인가
국제법으로 본 1900년대한 일조약들의 문제점 광고의 시대별 변천사
광고의 시대별 변천사 우리에게_일본은_무엇인가
안학과 신채호에 관해서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 문제
먼나라이웃나라 일본편 [한국근현대사] 삼일운동의 배경과 경과 및 의의
[관광지리학의 발달] 관광지리학의 발달과정(역.. 김유정,한국문학
21세기_한국경제의_과제와_발전전략 일제 식민지 시대의 가족제도의 변화, 조선관습..
 
[국문학] 장끼전 작품 분석
페이비어니즘의 원칙과 목표 ..
그리스도인은 인간을 어떻게 ..
평신도를깨운다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
2022년 2학기 방송통신대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