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촌의 지배구조
리포트 > 인문/어학
향촌의 지배구조
한글
2011.04.25
3페이지
1. 향촌의 지배구조.hwp
2. 향촌의 지배구조.pdf
향촌의 지배구조
향촌의 지배구조

〔관찰사와 수령〕 지방 통치를 위해 전국을 8도로 나누고, 그 아래 300여 고을에 부(府), 대도호부(大都護府),목(牧), 도호부, 군, 현을 두어, 각각 중앙에서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각 도에는 관찰사 또는 감사라 하는 방백(方伯)을 파견하였다. 또각 고을에는 부윤, 대도후부사, 목사, 도호부사, 군수, 현령, 현감 등의 수령을 파견해 다스렸다.
각 고을의 차등은 취락의 대소, 인구의 다과, 전결(田結)의 광협 등을 고려해 결정되었다. 고려시대까지 있어온 속현, 천민 집단인 향(鄕),소(所), 부곡(部曲) 등의 특수 구역은 태종 때의 지방제도 개편으로 제도로서는 거의 없어졌다. 그러나 실제 고을의 관할 구역 중 비지(飛地, 또는 越境地)라는 이름을 가진 지역의 상당수는 향․소․부곡의 유흔이었다.
개성부는 유수(留守)라는 경관직이 다스린 중앙직할 지구였다. 후기에는 광주(廣州)․강화․수원에도 유수를 두어, 개성과 함께 4도(四都)라 하였다. 관찰사는 도내의 각 수령을 감독할 임무를 띠고 행정, 사법뿐만 아니라 병마절도사, 수군절도사도 겸했으므로 군사권까지 장악하고 있었다.
때문에 관찰사는 출신지에 임명하지 않았고, 임기도 1년으로 짧게 제한, 그 지방에 세력을 뿌리내리지 못하게 하였다. 그리고 본래 관찰사의 주임무는 관내의 각 고을을 순회, 감독하는 일이었으므로 순찰사(巡察使)까지 겸하였다.
관찰사의 보좌관에는 도사(都事), 판관(判官) 등이 있었다. 도사는 관할 수령의 부정 규찰 및 과시(科試)를 관장했고, 판관은 관찰사가 겸직하는 주․부의 행정을 담당하였다.
각 고을의 수령은 고을의 차등에 따라 종2품에서 종6품까지 위계차가 있었는데, 모두 행정권․사법권 이외에 첨절제사(僉節制使) 이하의 군사권을 아울러 가지고 있었다.
수령의 임기는 3년이고, 역시 출신지에는 임명되지 않았다. 수령의 임무는 대개 농업의 장려, 호구의 확보, 교육의 진흥, 군정(軍政)의 수비(修備), 부역, 사송(詞訟)및 향리의 지휘․감독 등으로 요약된다.
....
붕당정치 성립의 역사적 배경 한국 기업의 지배구조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한..
제도적 관점에서 본 기업지배구조의 전개 기업의 지배구조에 대해 설명하시오. 또한 지배..
기업지배구조 우수사례 연구 # 기업지배구조 중.. 기업지배구조 성공사례분석과 우리나라 기업지..
[기업의 소유와 지배구조] 기업지배구조의 정의.. -기업지배구조와 기업의 성과
[소유구조 및 지배구조 조정] 소유구조조정과 .. 기업의 지배구조에 대해 설명하시오. 또한 지배..
[기업구조조정] 지배구조조정, 조직구조조정, .. 서원교육의실상
귀농_귀촌 프로젝트,이촌향도에서 이도향촌 시.. [한국사] 사림의 대두와 붕당정치
 
인간성격이론에 따른 자기 분..
영어 영문 - 흑인 영어[black ..
17-19세기 동아시아 삼국의 사..
정조의정치
국화와칼(베네딕트)
국화와칼